중국 군용기 10여 대가 9일 제주 남방 이어도 인근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4~5시간 가량 침범하고 대마도 남쪽 대한해협 상공을 통과해 동중국해와 동해 사이를 왕복 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응해 우리 공군은 전투기 10여 대를 긴급 발진시켰다고 군 관계자가 밝혔다. 중국 군용기의 KADIZ 침범은 이전에도 몇 차례 있었지만, 침범과 대응이 이처럼 대규모로 이뤄진 것은 이례적이다.
정부 소식통은 이날 "중국 군용기 10여 대가 오전 10시 이후부터 오후 3시가량까지 이어도 인근의 KADIZ를 수 차례 침범했다"면서 "우리 공군 F-15K와 KF-16 전투기 10여대가 긴급 발진해 전술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우리 공군 전투기는 중국 군용기에 경고통신을 했으며, 공군과 중국 공군 간에 설치된 핫라인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방위성도 "중국군의 '훙(轟·H)-6' 폭격기 6대와 윈(運·Y)-8 조기경보기 1대, 윈-9 정찰기 1대가 대한해협을 통과해 동중국해에서 동해로 향한 것을 확인했다"며 "이에 대응해 자위대 전투기 20여대를 출격 시켰다"고 밝혔다. 대한해협 상공에 진입한 중국 군용기는 지난해 1월 2대, 8월에 3대가 확인된 적이 있다.
방공식별구역은 국제법상 주권이 미치는 '영공'은 아니다. 그러나 이곳에 진입하는 외국 항공기는 관할국의 사전 허가를 받는 것이 관례다.
정부 소식통은 "폭격기를 동원한 대규모 중국 군용기 편대의 출현은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문제와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열도 영유권 분쟁으로 껄끄러운 한국과 일본에 동시에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