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改憲)을 매개로 한 여야(與野) 각 정파의 연대가 가시화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비문(非文), 새누리당 비박(非朴)계가 주도했던 개헌 논의에 22일 국민의당과 안철수 의원이 가세하면서 친문(親文)을 제외한 정치 세력들이 협력할 토대가 만들어졌다.
안철수 의원은 이날 문재인·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가 참여한 '보수와 진보 함께 개혁을 찾는다' 토론회에서 "개헌을 대선 공약으로 내걸고 2018년 지방선거에서 함께 투표하는 것이 실행 가능한 방안"이라고 했다. 안 의원은 그동안 개헌에 부정적 입장을 밝혀왔다. 그러나 이날 개헌 국민투표 실시 시점까지 제시하면서 개방적 입장으로 돌아섰다. 국민의당은 23일 의원총회를 통해 개헌 당론을 확정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민주당 소속인 박원순 서울시장과 이재명 성남시장도 최근 개헌을 위한 차기 대통령 임기 단축에 동의한다는 뜻을 밝혔다. 새누리당 친박계 역시 지난 10월 박근혜 대통령의 개헌 추진 발언을 계기로 개헌 찬성 쪽으로 돌아선 상태다. 문재인 전 대표 진영을 제외한 주요 정치 세력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개헌 연대' 주변에 포진하게 됐다.
민주당 내 개헌파와 국민의당, 새누리당을 탈당한 보수 신당파 등이 연합하는 이른바 '제3지대' 움직임이 개헌을 매개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제3지대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으로 거론되는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는 이날 토론회에서 문 전 대표를 겨냥해 "기득권 세력, 특권 세력, 패권 세력을 지키자는 게 호헌"이라고 했다. 역시 제3지대의 한 축인 남경필 경기지사는 "개헌을 대선 전에 끝낼 수야 없겠지만 대선 과정을 통해 시작할 수 있다"고 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귀국도 개헌론 확산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 민주당 김종인 의원은 본지 통화에서 "반 총장이 귀국하면 직접 만나 개헌에 관한 생각을 들어볼 예정"이라며 "나라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개헌 논의에 동참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문 전 대표는 여전히 개헌에 대해 부정적이다. 이날 토론회에서 문 전 대표는 개헌에 관해 언급을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