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21일 새누리당 비박계의 탈당(脫黨) 선언으로 정계 개편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나는 새누리당 분당(分黨)이라든지 '제3지대' 이런 데는 관심이 없다"며 "우리 민주당 후보가 이기면 되는 것"이라고 했다. 문 전 대표는 "탄핵이 헌법재판소로 넘어갔기 때문에 이제는 다시 (대선 준비 활동을) 시작해야 할 때"라고 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앞의 한 식당에서 송년회를 겸한 기자들과의 오찬 간담회를 열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희망을 위한 여러 비전이나 방안 준비도 그간 꽤 했는데 촛불 정국 때문에 제시를 못 했다"며 "지금부터 활발하게 하려고 한다"고 했다. 내년 조기 대선을 대비해 대선 일정에 본격 돌입하면서 정계 개편 움직임과 상관없이 '문재인 대세론'을 굳혀 가겠다는 뜻으로 풀이됐다.

간담회에는 친문(親文) 성향의 민주당 박광온·박범계·김경수·김해영 의원을 비롯해 원외(院外)에서 비서실장 역할을 맡고 있는 임종석 전 의원 등이 참석했다. '문재인 캠프'가 꾸려지면 모두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임 전 의원은 "조만간 여의도에 캠프 사무실을 차릴 예정"이라고 했다. 문 전 대표 측은 "기존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인물들과 새로운 모습으로 대선에 임할 것"이라고 했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기자들과의 오찬 간담회를 위해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으로 들어가던 도중 취재진 질문을 받으며 웃고 있다.

[문재인 "내가 혁명 말하니 비헌법적이라 하는건 편파적" ]

문 전 대표는 "지금부터 앞으로 대선 때까지 새누리당 분당 또는 제3지대 등 정계 개편이나 여러 가지 시도와 일이 일어날 수 있다"면서도 "(이번 대선은) 친박(親朴)·친문(親文)·반문(反文) 이런 게 아니고 결국 민주당 후보와 누군지는 모르지만 상대편과의 전선(戰線)이다. 우리 당 힘을 하나로 모아내기만 하면 정권 교체는 확실하기 때문에 분당이나 정계 개편에는 관심을 갖고 있지 않다"고 했다.

문 전 대표 측은 기본적으로 개헌을 매개로 거론되고 있는 정치권 내 여러 세력의 연대 가능성에 대해 "1등 대선 주자를 견제하기 위한 정치권의 '권력 나눠 먹기' 시도일 뿐 촛불 민심으로부터 정당성을 인정받지 못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문 전 대표는 개헌 질문이 이어지자 "뭔가 정계 개편, 제3지대, 이합집산 이런 얘기들은 전부 정치적 계산 속에서 이뤄지는 일들"이라며 "언론도 '몇몇 정치인이 개헌 논의했다' 이런 거에 너무 매달리지 말라"고 했다. 일부 정치 세력 간의 논의만으로는 개헌이 실현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문 전 대표는 이재명 성남시장 등 일부 야권 주자들이 "개헌을 위해 차기 대통령의 임기 단축 조건도 받아들일 수 있다"고 한 것에 대해서도 "지금은 그런 얘기를 할 단계가 아니다"고 했다.

문 전 대표는 국민의당과 야권 통합에 대해서는 "논의할 상황이 아닌 것 같다. 우리 당의 힘만으로도 정권 교체를 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그는 "캠프도 꾸리고 (정책)연구소도 만들고 해야 하는데 대선 행보처럼 보여질 수 있어서 촛불 정국 들어서면서 다 중단했다"며 "이제는 탄핵이 헌재로 넘어갔기 때문에 앞으로 전적으로 새로운 확장된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정치권 일각에서는 "섀도 캐비닛(예비 내각)을 준비하겠다" "헌재에서 탄핵이 기각되면 혁명밖에 없다" 같은 문 전 대표의 최근 발언을 놓고 비판 목소리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이날 "어떤 분은 섀도 캐비닛을 만든다고 한다. 대통령에 당선되면 북한부터 먼저 가겠다고 하고 이번에 헌재에서 (탄핵) 인용이 안 되면 혁명이라고 한다"며 "이제 이런 말을 하는 그분의 입을 탄핵할 때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용호 국민의당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않고 있는데 유력한 대선 주자 처신치고는 가볍기 그지없다"고 했다. 이런 비난에 대해 문 전 대표 측 핵심 관계자는 "앞서 가는 것 만큼 신중하고 조심하라는 뜻에서 하는 조언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