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19일 중국 어선이 한국 해경 고속단정을 공격해 침몰시킨 사건과 관련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7일 사건 발생 후 외교 갈등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제기됐던 이번 사태는 봉합될 가능성이 생겼다는 분석이다.
외교부는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김형진 외교부 차관보와 쿵쉬안유(孔鉉佑)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가 가진 협의에서 쿵 부장조리가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쿵 부장조리는 최근 불법 조업으로 발생한 사건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며 "중국 정부는 법과 규정에 따라 해당 어선을 조사 중에 있으며, 법에 따라 처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쿵 부장조리는 중국 외교부 고위급 중 유일한 조선족(朝鮮族)이다.
김 차관보와 쿵 부장조리는 북핵 문제 관련해, 북한의 5차 핵실험과 관련한 안보리의 강력한 결의가 조속히 채택돼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이와 관련 김 차관보는 "대북 제재로 북한이 핵을 포기할 수밖에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했고, 쿵 부장조리는 "중국은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 새로운 (제재) 결의에 건설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추궈훙(邱國洪) 주한 중국대사도 이날 서울 시내 한 호텔에서 열린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초청 강연회에서 "한·중 간 특정 현안을 언급하지는 않겠다"면서도 한·중 관계를 부부에 빗대 "아무리 심하게 싸우더라도 부부는 운명공동체"라고 말했다. '특정 현안'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외교가에서는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그는 "싸우는 과정에서 불편을 느낄 수는 있지만, 한·중 관계의 전망에 충분한 자신감을 갖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