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남중국해 전체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한다면, 미국은 캘리포니아에서 필리핀에 이르는 태평양 전역을 '미국해(American Sea)'라고 할 수 있다."
힐러리 클린턴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가 국무장관을 그만둔 지 8개월이 지난 2013년 10월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에서 가진 강연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3일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해킹 이메일을 인용해 보도했다. 폭로 전문 사이트 위키리크스는 이 이메일이 클린턴 캠프의 선대위원장인 존 포데스타의 계정에서 나왔다고 했다.
SCMP에 따르면 클린턴은 "중국은 기본적으로 남중국해 전체를 통제하고 싶어한다"며 "누군가가 이를 견제하지 않는다면 에너지를 포함해 전 세계 교역량의 48%가 오가는 이 해역이 막히게 될 것"이라고 했다.
클린턴은 강연에서 국무장관 시절 중국 측 대화 파트너와 남중국해에 관해 논쟁했던 일도 공개했다. 그는 "중국은 환초(環礁)에 좌초한 어선에서 나온 도자기 조각을 근거로 남중국해 영유권을 주장하는데, 그런 논리대로라면 미국은 2차대전 때 병력을 호송했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태평양 전역에 대한 영유권을 요구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고 한다. 클린턴은 이 일에 대해 "개인적으로 가장 대단했던 논쟁 중 하나"라고 했다. 클린턴이 언급한 대화 파트너는 다이빙궈(戴秉國) 전 외교담당 국무위원인 것으로 추정된다.
SCMP는 해킹 이메일에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이 전임자인 후진타오(胡錦濤) 전(前) 주석보다 나은 정치인"이라고 한 클린턴의 말도 나와 있다고 전했다. 그는 2013년 외부 강연에서 "시 주석은 후 전 주석보다 세련되고 효율적인 대중 지도자"라며 "시 주석이 세상을 더 많이 알고 더 경험이 많은 정치인이라는 인상을 준다"고 했다. 클린턴은 "국무장관 재임 4년간 가장 큰 걱정거리는 중국 군부가 외교정책을 만든다든가 하는 식으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이었다"며 "후 전 주석은 장쩌민 전 주석과 달리 인민해방군을 장악하지 못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