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강한 산업2부 기자

"전체 교환 대상 제품 중 10%쯤 교환됐습니다. 예상외로 한산하네요."

지난 19일부터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노트7)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한 통신업체 관계자의 말이다. 통신업계는 21일까지 삼성전자가 노트7 교환용으로 공급한 20만여대 중 실제 교환된 제품은 4만~5만대 수준으로 추산한다. 통신업체들은 '리콜 대란'에 대비해 비상 근무 체제에 들어갔지만 찾는 사람이 뜸해 허탈하다는 반응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추세라면 통신업체 교환 서비스가 끝나는 이달 말까지 총 40만여대 중 절반도 교환하기 어렵지 않겠느냐"고 했다.

노트7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중국·일본 등에서 배터리 불량 문제로 항공기 내 사용 금지 조치가 내려진 제품이다. 삼성전자조차 이용자들에게 즉시 전원을 끄고 사용을 중단해달라고 요청할 정도다. 최근엔 충전할 때뿐 아니라 충전하지 않을 때도 폭발했다는 의심 신고까지 들어오고 있다. 또 24시간 곁에 두는 스마트폰의 배터리가 폭발했을 경우 화상 등 추가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에 결코 가볍게 볼 일은 아니다.

그런데도 노트7 교환율이 예상외로 저조한 데 대해 통신 3사와 삼성전자는 난감해하는 분위기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언론에서 그동안 거의 매일 보도하다시피 했고 삼성전자가 안내 광고까지 했는데도, 이용자들은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모양"이라고 씁쓸해했다.

지난 19일 서울 종로구에 있는 한 통신업체의 판매점에서 소비자들이 갤럭시노트7 교환 상담을 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어떤 나라?]

실제로 일부 이용자 사이에서는 "내년 3월까지 노트7을 바꿔준다고 하니 그때 교환하면 오히려 이득"이라는 이야기까지 공공연하게 나돌고 있다. 내년 3월까지 교환해주는 만큼 최대한 늦게 제품을 바꾸는 게 더 이득이라는 계산이다. "좀 더 기다렸다 바꾸면 더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국내 소비자들의 안전 불감증은 외국인의 시각에서 보면 이해하기 힘든 수준이다. 지난 2일 삼성전자 리콜 발표 이후 서비스센터를 찾아 배터리 검사를 진행한 이용자도 10% 미만에 그쳤고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진행한 대여폰 이용률도 매우 낮았다. 교환 프로그램 운영 하루 만에 싱가포르 이용자 약 50%가 교환을 마친 것과는 대비되는 모습이다. 세월호 침몰 등 대형 참사는 항상 작은 일에서 시작됐다는 사실을 벌써 잊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