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교환 대상 제품 중 10%쯤 교환됐습니다. 예상외로 한산하네요."
지난 19일부터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노트7)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한 통신업체 관계자의 말이다. 통신업계는 21일까지 삼성전자가 노트7 교환용으로 공급한 20만여대 중 실제 교환된 제품은 4만~5만대 수준으로 추산한다. 통신업체들은 '리콜 대란'에 대비해 비상 근무 체제에 들어갔지만 찾는 사람이 뜸해 허탈하다는 반응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추세라면 통신업체 교환 서비스가 끝나는 이달 말까지 총 40만여대 중 절반도 교환하기 어렵지 않겠느냐"고 했다.
노트7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중국·일본 등에서 배터리 불량 문제로 항공기 내 사용 금지 조치가 내려진 제품이다. 삼성전자조차 이용자들에게 즉시 전원을 끄고 사용을 중단해달라고 요청할 정도다. 최근엔 충전할 때뿐 아니라 충전하지 않을 때도 폭발했다는 의심 신고까지 들어오고 있다. 또 24시간 곁에 두는 스마트폰의 배터리가 폭발했을 경우 화상 등 추가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에 결코 가볍게 볼 일은 아니다.
그런데도 노트7 교환율이 예상외로 저조한 데 대해 통신 3사와 삼성전자는 난감해하는 분위기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언론에서 그동안 거의 매일 보도하다시피 했고 삼성전자가 안내 광고까지 했는데도, 이용자들은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모양"이라고 씁쓸해했다.
실제로 일부 이용자 사이에서는 "내년 3월까지 노트7을 바꿔준다고 하니 그때 교환하면 오히려 이득"이라는 이야기까지 공공연하게 나돌고 있다. 내년 3월까지 교환해주는 만큼 최대한 늦게 제품을 바꾸는 게 더 이득이라는 계산이다. "좀 더 기다렸다 바꾸면 더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국내 소비자들의 안전 불감증은 외국인의 시각에서 보면 이해하기 힘든 수준이다. 지난 2일 삼성전자 리콜 발표 이후 서비스센터를 찾아 배터리 검사를 진행한 이용자도 10% 미만에 그쳤고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진행한 대여폰 이용률도 매우 낮았다. 교환 프로그램 운영 하루 만에 싱가포르 이용자 약 50%가 교환을 마친 것과는 대비되는 모습이다. 세월호 침몰 등 대형 참사는 항상 작은 일에서 시작됐다는 사실을 벌써 잊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