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형 간염이란?]

의료기관에서 C형 간염 집단감염 사태가 잇따르자 정부가 6일 C형 간염을 전수(全數) 감시하는 것을 골자로 한 예방·관리 대책을 내놨다. 앞으로 C형 간염 환자를 인지한 모든 의료기관은 의무적으로 보건당국에 보고해야 한다. 지금은 186개 의료기관만 보고가 의무화돼 있다.

C형 간염은 감염 초기엔 70%가 증상이 없는 데다가 이 병에 대한 국민 인지도가 높지 않아 환자 발견이 늦어지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보건당국은 C형 간염 환자를 제때 찾아내기 위해 40세·66세 때 받는 '생애 전환기 건강진단' 대상자에게 C형 간염 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검사에 큰 비용이 드는 것도 아니니 유병률이 높은 지역만이 아니라 생애 전환기 건강진단 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C형 간염 감염자를 찾아내야 한다.

최근 확인된 C형 간염 집단감염은 모두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 주사제 오염, 불법 치과 치료 등 비위생적인 의료 시술이 원인이었다. 보건당국은 일회용 의료기기의 유통·사용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해 재사용 여부를 확인하겠다고 했다.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복지부가 지난 2월부터 국민 신고를 받아 54곳의 병·의원에 대해 현장 조사를 벌인 결과 일회용 주사기를 재사용하거나(2곳), 주사기 외에 내시경 등 의료기기를 비위생적으로 재사용하거나(9곳), 주사 약제를 미리 재어놓는 등(6곳) 17군데의 위법을 확인했다. 복지부는 이들 17곳 의료기관에 행정처분을 내렸다. 행정처분만으로 그칠 게 아니라 주사기 재사용 등이 적발된 비양심적 병·의원은 명단을 공개해 경각심을 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