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선 문체부 장관 내정자 "문화융성에 성심 다 하겠다"]

박근혜 대통령이 16일 새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조윤선 전 청와대 정무수석을 내정하는 등 장관 3명을 교체했다. 박 정부 출범 때부터 3년 6개월을 재임해온 윤성규 환경부 장관과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도 바꿔 그 후임에 영남·관료 출신들을 내정했다. 규모나 내용 면에서 모두 개각이라고 하기에도 민망하다. 이럴 거면 총선 후 넉 달을 뜸들이더니 개각은 왜 했느냐는 말이 나올 수밖에 없다.

외교·안보팀은 누구도 교체되지 않았다. 이 정권 3년 6개월 동안 미·중·일과의 관계가 모두 극단과 극단을 오갔다. 미국에선 한때 중국 경사론(傾斜論)이 위험한 수위까지 치달았고 일본과의 관계도 거의 단절 수준까지 갔다. 중국과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역대 최상'이라더니 지금은 '수교 후 최악'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곤두박질쳤다. 이런 외교 실패는 이 정부 외교·안보 책임자들의 무능과 단견(短見)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박 대통령은 누구에게도 책임을 묻지 않았다.

북의 4차 핵실험 이후 외교·안보 상황이 불안하기 그지없다. 박근혜 정부가 임기 1년 6개월을 남긴 이 시점에서 해야 할 첫째 책무는 극도로 흐트러진 대외(對外) 관계를 최대한 정돈해 다음 정권에 넘겨주는 일이다. 이대로라면 나라의 운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미·중·일과의 관계가 더 꼬이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박 대통령은 우리의 외교·안보 정책이 어떻게 하면 연속성을 유지하며 다음 정권으로 순조롭게 이어질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할 시기다. 정권 교체의 과도기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외교·안보팀을 발족시켜야 한다.

박 대통령은 총선 대패 후 "민심을 수용하겠다"는 말을 여러 번 했다. 그러나 이번 개각을 보면 총선 참패 사실을 벌써 잊어버린 것이 아닌가 의심스러울 정도다. 1년여 전 정무수석에서 경질되고 여당 경선에서도 떨어진 사람을 다시 장관에 기용하는 것을 보면 할 말을 잃게 만든다. 박 대통령은 '탕평·균형 개각'을 해달라는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의 요청도 완전히 묵살했다. 친박 대표의 체면을 세워주기 위해 모양새를 갖춰보려는 시늉조차 하지 않았다.

이렇게 청와대가 여당을 뭉개고 민심을 묵살하는 상황이 계속된다면 새누리당의 앞날도 밝을 리 없다. 새 대선 후보가 떠오를 수도 없고 결국 재집권도 힘들 것이다. 이런 평범한 진리를 박 대통령만 모른다는 사실을 이번 개각이 보여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