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反)사드 여론몰이를 계속하고 있는 중국 관영 매체가 5일 "한국이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를 계속 고집하면 중국은 유엔 차원의 대북 제재 공조 대오에서 이탈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국제사회 차원의 의무인 대북 제재를 사드와 결부시켜 한국을 협박하고 나선 것이다.

중국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는 이날 '사드가 대북 공조를 파괴한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사드 배치가 북한에 대한 유엔 결의를 이행하는 데 분열을 초래할 것"이라고 썼다. 이 신문은 "중국은 안보에 대한 우려로 한·미·일과 함께 대북 유엔 제재를 이행해왔지만 사드가 이런 연합 전선에 죽음을 선언했다"면서 "반기문 사무총장이 북한에 대화의 장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지만 사드로 국제 공조가 분열된다면 복귀 가능성은 작다"고 했다. 차이나데일리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은 과거 이런 분열의 틈바구니에서 자라왔고 북한으로선 다시 이런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고도 했다. 한·미가 사드 배치를 강행하면 중국은 앞으로 대북 제재에 있어 한·미·일과 보조를 맞추지 않겠다는 협박이다.

중국은 지난 3월 유엔 안보리가 4차 북 핵실험에 대한 대북 제재 결의안을 통과시킨 이후 시진핑 주석까지 나서 "유엔 안보리 이사국이자 국제사회 책임 있는 구성원으로서 제재 결의안을 전면적이고 완전하게 이행할 것"이라고 다짐해왔다. 사드 배치 결정 이후에도 '중국의 대북 제재 완화'를 우려하는 우리 언론들의 보도에 대해 중국 관영 매체들은 "근거 없는 주장"이라는 반응을 보여왔다. 차이나데일리의 보도는 이를 뒤집은 것이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6일 연속 사드 비판 사설을 게재하며 바람몰이를 계속했다. 인민일보는 한국 정부와 언론에 나온 '사드는 제3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 '중국은 북핵 문제에서 자신의 책임을 돌아봐야 한다'는 등의 논리를 소개하면서 "한마디로 기담괴론(奇談怪論·황당하고 이치에 맞지 않는 이야기)"이라고 주장했다. 인민일보는 "백 번을 양보해 한국이 설령 중국의 안보를 생각한다고 해도, 한국은 군사문제에서 미국을 추종하고 있으며 그 어떤 자주권도 없다는 것을 누구나 안다"라고 주장했다. 이 매체는 그러면서 "(한국이) 방종하는 마음으로 산(山·미국을 의미)에 기대어 마음대로 한다면 지나치게 경박한 것"이라고 말했다.

인민일보 해외판도 이날 '사드가 초래할 도미노 효과를 경계해야'라는 제목으로 한 면 전체를 사드 비판으로 도배했다. 이 신문은 푸단대 팡슈위(方秀玉) 한국연구센터 교수를 인용, "사드의 한국 배치는 도미노 효과를 초래해 필리핀, 대만에도 사드가 배치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사드 배치와 관련해 "서울(한국)이 도쿄(일본)로 기우는 것이 베이징(중국) 입장에서는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이날 보도했다. SCMP는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이 지난 4일 일본의 요청이 있을 경우 주한 미군 배치 사드가 탐지한 정보를 한·미·일 정보 공유 약정 범위 내에서는 공유할 수 있다고 밝혔다"며 이같이 전했다.

중국 전략미사일부대인 제2포병 출신의 군사전문가 쑹중핑(宋忠平)은 SCMP에 "이렇게 시작된 정보 공유가 점차 확대되면 장기적으로 군사동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는 한·미·일 삼각 군사동맹을 의미하는 것으로 동북아의 안정에 심각한 위협을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 군비통제·군축협회 쉬광위(徐光裕) 선임 연구원(예비역 소장)도 "한·일 공조가 강화되면 중·러는 미사일 정보가 노출돼 한·미·일 3국으로부터 강력한 도전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