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실시된 일본 참의원(상원) 선거에서 10대(18·19세) 유권자의 절반이 자민·공명 연립여당에 표를 던진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18·19세 약 240만명은 작년 선거법 개정에 따라 이번 선거에서 처음 유권자 자격을 얻었다.
NHK 출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10대 유권자 중 비례대표 투표에서 자민·공명당을 찍은 비율이 52%에 달했다. 집권 자민당을 찍었다는 응답자가 42%로 가장 많았고, 공명당에 투표했다는 응답자는 10%였다. 제1야당인 민진당을 찍었다는 응답자는 20%에 그쳤다.
일본의 10대가 현 여당에 우호적이어서 선거 연령을 20세 이상에서 18세 이상으로 낮추면 아베 정권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일본 내 전문가들의 예측이 그대로 현실화됐다.
아사히신문의 비례대표 출구조사에서도 10대의 연립여당 지지율은 50%로, 20대(52%) 다음으로 높았다.
40%가 자민당, 10%가 공명당에 투표했다. 민진당 지지자는 17%에 불과했다. 20대도 연립여당 지지자가 52%에 달한 반면, 민진당은 16%에 그쳤다. 반면 40대의 연립여당 지지율은 47%, 50대 46%, 60대 43%, 70세 이상 44%였다. 아사히신문은 "유권자 연령이 낮아질수록 연립여당 지지율이 높아지고, 나이가 많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10대들의 보수화에 대해 이 연령대가 경기·고용 등 경제 문제에 민감한 데다, 전쟁의 참혹성 등에 대한 인식 정도가 기성세대보다 낮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지평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취업 등 경제 문제에 민감한 10대가 아베 정권의 경제정책에 상대적으로 더 점수를 준 결과"라면서 "이번 선거에서 자민당이 개헌 이슈를 철저히 숨기고 경제 살리기를 전면에 내세운 것도 주효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