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로 확정된 부동산 재벌 도널드 트럼프〈사진〉는 4일(현지 시각) "한국을 포함한 동맹국은 역내(域內) 미군 주둔 비용을 100%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CNN 인터뷰에서 "한국·일본·독일 등 동맹국을 미국이 지켜주는데 이들은 우리에게 제대로 보상을 하지 않는다. 왜 우리가 모든 비용을 부담해야 하느냐"며 이렇게 말했다.

트럼프는 공화당 경선 과정에서 "동맹국들이 방위비 분담 비율을 늘려야 한다"고 언급해왔지만 전액(100%)을 부담하라고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한 것은 처음이다.

트럼프는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 사령관 지명자가 최근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한국은 주한미군 인적 비용의 50% 정도를 부담한다고 증언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얼마라고? 50%? 왜 100%는 안 되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질문자가 '한국·일본·독일 등 미군 주둔 국가가 모든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뜻이냐'고 묻자 "당연하다. 그들이 모든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또 "동맹국들이 응하지 않으면 협상장에 나올 준비를 해야 한다"면서 "우리를 제대로 존중하지 않으면 답은 간단하다. 그들(한국과 일본)이 '미치광이(maniac·김정은을 의미)'가 있는 북한에 맞서 스스로 방어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위비 협상이 결렬되면 미군을 철수할 수도 있다는 취지였다.

그는 "동맹국들이 우리를 제대로 대하지 않으면 세계의 경찰 역할을 더 이상 해서는 안 된다"고도 했다. 하지만 '미군을 본토에 주둔시킬 경우 비용이 훨씬 많이 든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답변을 피했다. 한국과 일본의 핵무장 허용을 시사하는 듯한 과거 발언과 관련해서는 "나는 일본의 핵무장을 원치 않는다"면서 "내가 원하는 것은 적어도 비용만큼은 제대로 변상하라는 것"이라고 했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미군 주둔 분담금으로 한국은 9320억원(2015년 기준), 일본은 38억1700만달러(약 4조4000억원, 2012년 기준), 독일은 5억2500만달러(약 6000억원, 2013년 기준)를 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테드 크루즈 연방 상원 의원에 이어 존 케이식 오하이오 주지사도 4일 공화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물러났다. 유일하게 남은 트럼프가 공화당 대선 후보로 사실상 확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