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24일 "유승민·이재오 의원 등의 지역구인 서울 은평을, 송파을, 대구 동구갑, 동구을, 달성 5곳은 무공천 지역으로 남기겠다"고 했다. 김 대표는 "잘못된 공천을 최소한이나마 바로잡기 위해 5곳에 대한 공천관리위의 결정에 대해 의결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후보 등록이 끝나는 내일까지 최고위원회를 열지 않겠다"고 했다. 이 지역들은 박근혜 대통령과 친박에 의한 보복 공천 논란이 거셌던 곳으로, 김 대표가 불공천(不公薦)이라는 초강수를 꺼낸 것이다. 여당이 자기 우세 지역에서 무더기로 공천을 하지 않기로 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이대로 간다면 이곳에서 공천을 받은 이재만·정종섭·추경호 등 친박 후보들은 출마를 할 수 없게 된다. 대신 유·이 의원을 포함해 공천 탈락으로 탈당한 후보들이 무소속이지만 사실상의 여권 후보로 선거를 치르게 될 수 있다. 후보 등록 당일 선거판을 송두리째 뒤흔든 이번 사건은 친박·비박 간 막장 진흙탕 싸움이 빚어낸 참사다.

김 대표의 이번 결정은 극단적 선택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아무리 무리하게 공천된 친박 후보들이라고 해도 출마 기회 자체가 봉쇄당하는 것은 옳지 않다. 김 대표는 당을 책임지는 입장에서 상황이 이렇게 악화되기 전에 어느 쪽이든 결단을 내렸어야 했다. 이제 와서 극한 대립을 선택한 것은 여론의 비난을 피하기 위한 면피성 행동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힘들다.

하지만 이 파국은 박 대통령과 친박이 너무 심하고 노골적으로 밉보인 사람들을 잘라내면서 예고됐던 것이나 마찬가지다. 지나치다는 여론도 묵살하고 막무가내로 밀어붙였다. 독선과 오만이 결국 파탄을 부른 것이다. 이날 김 대표는 "당을 떠난 동지들이 남긴 '정의와 민주주의가 아니다' '사천(私薦) 밀실 공천에 불복하겠다'는 말이 가슴에 비수로 꽂힌다"고 했다. 김 대표의 극단적 처신에는 동의하지 않더라도 이 말에는 공감하는 국민이 적지 않을 것이다.

친박은 유승민 의원에 대해선 마지막까지 공천 심사를 미뤄 고사(枯死)시키는 모습까지 연출했다. 그렇게 시간을 끌었기 때문에 이젠 친박이 도리어 후보 등록일 마감에 쫓기게 됐다. 김 대표나 누구를 탓하기도 어렵다.

친박 최고위원들은 이날 회의를 열어 김 대표가 25일 오전까지 회의를 열지 않으면 새로운 대표권한대행을 뽑아 공천안을 의결하겠다고 밝혔다. 그것이 법적으로 가능한지는 놔두고라도 이 정도면 당이 둘로 쪼개지기 직전의 대치 상황이나 마찬가지다. 이들에게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의라도 있다면 지금이라도 파국을 수습하기 위한 대화를 해야 한다. 김 대표가 25일부터 당무를 보겠다고 한 만큼 타협할 수 있는 길이 없지 않다. 강경 일변도인 박 대통령도, 벼랑에 몰린 김 대표도 출구를 찾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당 간판이 아직 붙어 있다곤 하지만 국정을 책임지는 집권당으로서의 실체는 사실상 행방불명이 될 것이다.

[[사설] 천안함 폭침 6년, 北 도발 위협 총선 바람에 흘려들어선 안 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