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누구?]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누구?]

더불어민주당에서 비례대표 후보 선정을 둘러싼 당내 갈등 과정을 통해 친노·운동권 색깔이 다시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재인 전 대표가 당의 변화를 명분으로 김 대표에게 총선 지휘봉을 맡겼지만 결과적으로 김 대표는 '분장사(扮裝師)' 역할에 그쳤다는 것이다.

더민주 중앙위원회는 22일 투표를 통해 김 대표가 제시했던 전문가 중심의 비례대표 명단을 운동권 출신 또는 친(親)문재인 인사 위주로 바꿨다. 김 대표가 비례대표 공천을 통해 당의 색깔을 바꾸려 하자 주류들이 '정체성'을 문제 삼으며 뒤집어버린 것이다. 주류들은 그동안 김 대표가 '햇볕정책 수정론' '북한 궤멸론' '노조 쇄신론' 등을 얘기해도 총선 승리를 위해 참아왔다. 문 전 대표 시절 만든 '공천 혁신안'을 무력화시키고 새 공천 룰을 만들어 '물갈이'를 해도 별 문제 제기를 안 했다. 하지만 기존 야권(野圈) 세력들의 핵심적 이해관계가 걸린 비례대표를 두고는 결국 행동에 나섰다.

김 대표 측 관계자는 "친노·운동권이 숨죽이고 있다가 지역구 공천이 끝나니 본색을 드러낸 것"이라며 "당선 안정권에 자기 정체성에 맞는 주류 측 인사가 없다는 걸 문제 삼은 것"이라고 했다. 홍창선 공천관리위원장은 본지 통화에서 "중앙위를 석권한 사람들이 세 과시를 하면서 김 대표에게 '당신은 이제 없어도 돼'라고 행동한 것과 마찬가지"라고 했다. 친노·운동권이 '당의 주인은 우리'라는 사실을 재확인시켜준 셈이다. 당 비주류 관계자는 "김 대표라는 화장(化粧)이 총선 뒤에 지워질 줄 알았는데 너무 일찍 지워졌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날 "조만간 결심을 발표하겠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다.

김 대표가 사퇴 의사를 밝히자 경남 양산 자택에 있던 문재인 전 대표는 급거 상경해 김 대표를 만나 설득했다. 이 역시 '더민주는 문재인당'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그는 공식적으로는 말 그대로 전직 대표 중 한 명일 뿐이다. 하지만 김 대표와 당 수습 문제를 직접 담판할 유일한 '대주주'는 결국 문 전 대표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