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드 배치에 대해서는 협박과 경고를 서슴지 않는 중국이 영유권 분쟁 지역인 남중국해, 그리고 한반도 인접 지역에 대형 레이더 시설을 건설 중이거나 운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현지 시각으로 22일 남중국해 스프래틀리 군도(중국명 난사군도)에 중국이 건설한 최남단 인공섬인 콰테론 암초(중국명 화양자오)의 지난달 24일자 위성사진을 공개하며, "이곳에 고주파 레이더가 건설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레고리 폴링 CSIS 연구원은 "남중국해를 지나는 선박과 항공기에 대한 중국의 감시 역량이 엄청나게 향상될 것"이라며 "미국의 남중국해 자유항행 능력을 축소시키려는 중국의 전략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설"이라고 말했다. CSIS는 또 중국이 건설한 7개 인공섬 가운데 나머지 섬들의 위성사진에서도 레이더 탑이나 포상(砲床), 벙커, 헬리콥터 이착륙지, 부두 등으로 추정되는 시설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중국 외교부는 CSIS의 이 같은 주장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해 주지 않았지만, "방어시설 설치는 중국 영토 내에서 이뤄지는 적법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정례 브리핑에서 레이더 설치 여부에 대한 외신기자의 확인 요청에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서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면서도 "중국 영토인 난사군도 관련 섬에 방위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은 주권 국가 누구에게나 부여된 자위권 행사"라고 주장했다.
중국은 한반도 인접 지역에서도 초대형 신형 레이더를 오랫동안 운영한 것으로 전해졌다. 22일 중국 관영 관차저왕(觀察者網)은 헤이룽장(黑龍江)성 솽야산(雙鴨山)의 한 항공우주관측제어소 부근에 있는 신형 지상 대형 전략경보 위상배열레이더 사진을 공개했다. 관차저왕은 이 레이더의 탐지 거리가 5500㎞에 이른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