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국무총리가 중국 하이난 성에서 열리는 보아오 포럼에 불참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2002년 시작된 보아오 포럼에는 이한동 당시 국무총리가 참석한 이후 우리 정부에서는 그동안 총리나 장관이 참석해 왔다. 이번에는 총리는 물론 경제부총리나 장관도 포럼에 가지 않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는 모양이다.

보아오 포럼은 형식상으론 민간 기구가 주최하는 아시아의 지역 경제 포럼이어서 반드시 정부 대표가 가야 하는 국제회의는 아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중국 정부가 토론 내용을 관리하고 외국 참석자들도 직접 섭외하는 사례가 많다. 황 총리도 작년 11월 리커창 중국 총리로부터 직접 초청을 받았다.

우리 정부가 보아오 포럼 불참을 검토하는 것은 북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처하는 중국에 대한 실망감에서 비롯됐을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시진핑 주석의 태도에 낙담했다는 얘기가 전해지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런 청와대 분위기의 연장 선상에서 보아오 포럼을 기피한 것이라면 외교에 감정을 개입시키는 속 좁은 접근법이다.

북핵 도발 이후 중국이 딴청을 부리며 깡패짓을 하는 북한을 감싸고 도는 듯한 태도에는 실망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다시는 얼굴을 보지 않겠다는 식으로 나가면 한·중 관계가 다시 어두운 시대로 진입할 수 있다. 한국 정부가 거부한다고 해서 중국이 포럼을 포기할 것도 아니다.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오히려 훗날 분풀이할 명분을 찾을지도 모른다.

한국이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의 주한 미군 배치 논의를 공식화한 이후 중국의 언행이 날로 거칠어지고 있다. 이런 때일수록 모든 분야에 걸쳐 중국과 접촉 범위를 확대해 중국의 진짜 내심(內心)을 탐색하고 때로는 그들을 설득해야 한다. 보아오 포럼에는 세계 50여개 나라의 대표와 경제 수장들이 참석하는 만큼 최근 정세에 대한 한국의 입장을 국제사회에 설명하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사설] 朴 대통령, 핵 공포에서 나라·국민 지킬 새 安保 전략 내놔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