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가 고(高)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인 '사드(THAAD)'의 주한 미군 배치에 대한 공식 협의를 조만간 시작하고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29일 알려졌다. 정부는 미국이 사드 배치를 공식 요청하면 중국의 반발을 감안해 레이더 탐지 거리가 짧은 '종말(終末) 단계 요격용'(TBR·유효 탐지 거리 600㎞)의 배치를 전제로 수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부 소식통은 "북한의 4차 핵실험 실시와 장거리 미사일 발사 움직임을 계기로 미측이 조만간 사드의 주한 미군 배치를 공식 요청해올 가능성이 커 우리 정부 입장을 정리 중"이라고 했다. 다만 "아직 미국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요청받은 적은 없다"고 했다. 이와 관련, 미 고위 인사는 28일(현지 시각) 미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뷰에서 "한·미가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둘러싼 막바지 협상을 하고 있으며, 이르면 다음 주나 그다음 주에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 같은 보도 내용은 부인하면서도 "주한 미군에 사드가 배치된다면 우리 안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드 제작사인 록히드마틴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한국을 방문해 정부 관계자들을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와 군 당국은 그동안 북한 노동미사일(사거리 1300㎞) 등의 요격을 위해 사드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사드 레이더 배치는 중국 감시용"이라는 중국의 반발을 고려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해왔다. 이 때문에 최대 탐지 거리 2000㎞로 중국 내륙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감시할 수 있는 전진 배치용 레이더(FBR) 대신 탐지 거리가 600~1000㎞인 종말 단계 요격용 레이더의 배치를 미측에 요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중국은 이 같은 움직임에 즉각 경계의 뜻을 나타냈다. 중국 외교부 화춘잉 대변인은 이날 사드의 한반도 배치 문제와 관련해 "중국은 한국이 신중하게 처리하기를 희망한다"며 "어떤 국가든 자신의 안전을 도모할 때는 다른 국가의 안전·이익과 지역의 평화·안정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