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오는 3월 말부터 대만으로 가는 관광객들을 줄이기로 했으며, 이는 5월 출범하는 대만 민진당 차이잉원(蔡英文) 정권을 압박하기 위한 것이라고 대만 빈과일보 등이 2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대만 여행사들은 중국 단체여행사들로부터 '3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 관광객이 기존의 3분의 1 혹은 2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통보를 받았다. 산둥(山東)·허베이(河北)·장쑤(江蘇)성 등이 대만행 관광객 숫자를 지난해 같은 기간의 3분의 1로 줄이는 것을 비롯, 중국 11개 성 및 직할시가 대만 여행을 옥죌 계획이라고 빈과일보는 전했다. 개인 여행이 허용된 47개 도시 중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 광저우(廣州), 샤먼(廈門)을 뺀 나머지 도시에서는 자유 여행이 일시 금지될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은 대만 여행사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의 이 같은 조치는 차이잉원 총통 당선자가 5월 20일 취임 전에 '92 컨센서스(하나의 중국 원칙)'를 인정하게 하려는 의도"라고 전했다. 대만 독립을 강조하는 민진당 주석인 차이 당선자는 92 컨센서스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대만의 여론조사 기관인 타이완즈쿠(臺灣智庫)의 라이이중(賴怡忠) 부사장은 그러나 '미국의 소리'와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가 실제로 이런 지침을 내렸는지 여부는 확실치 않다"며 "관광객이 실제로 감소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대만 동우대학 쉬융밍(徐永明) 교수도 "중국과 일본은 동중국해의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 영유권을 놓고 양측 군함과 항공기가 대치했지만 현재 일본을 찾는 관광객 중 1위가 중국인"이라며 "중국이 관광객 줄이기라는 압박 카드를 꺼내더라도 차이 정권이 입장을 바꿀 이유는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