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7일 북한 핵실험과 관련해 "중국의 (대북 제재) 방식은 작동하지 않았고, 북한에 대해 평소 했던 것처럼 대응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케리 장관은 이날 중국 왕이(王毅) 외교부장과 전화 통화한 사실을 공개하면서 "중국은 자신이 원하는 특별한 대북 접근법이 있어 그동안 이를 실행할 수 있게 중국의 의사를 동의하고 존중했지만 실패했다"며 "왕이 부장에게 그냥 있을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고, 왕 부장도 동의했다"고 말했다. 북한에 대해 새롭고 강경한 대응 방침을 시사한 것이다.
케리 장관은 특히 "왕 부장과 앞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다양한 선택지와 방식들에 대해 논의했다"며 "북한의 핵실험을 둘러싼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를 결정하는 데 서로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의 이번 핵실험은 역내(域內) 안보에 대한 미국의 확고하고 지속적인 공약을 다시 한 번 강조해 줄 뿐"이라며 "필리핀과의 대화, 아세안 정상 미국 초청 회의에서 북한 문제를 다루는 등 2016년 한 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매우 활동적인 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조만간 토니 블링큰 국무부 부장관을 아·태 지역에 파견해 북핵 문제에 대한 공동 대처를 논의할 예정이다.
뉴욕타임스는 미국이 북한 선박의 다른 나라 입항 금지, 북·중 무역 규모 축소와 대북 원유 공급 중단, 북한과의 금융거래 중단 같은 대북 제재 수단을 준비해 제안할 예정이라고 정부 관리를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 재무부가 파악한 김정은의 해외 자금 거래 금융기관 계좌를 동결하는 방안도 제기했다. 김정일의 비자금 통로였던 방코델타아시아(BDA) 계좌를 조지 W 부시 정부가 동결했던 것과 비슷한 조치다.
그러면서 뉴욕타임스는 사설에서 "중국이 그 누구보다도 대북 영향력을 갖고 있고, 교역 중단 등을 포함해 김정은 정권에 압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유일한 위치에 있다"며 "북핵 위협 해결에 평화적 방식으로 힘을 보태는 것은 세계 리더가 되겠다는 열망을 가진 중국에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