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총선 공천 룰을 둘러싼 새누리당 내 지겨운 계파 싸움이 벌써 석 달째 계속되고 있다. 지난 3일 열린 공천제도특별위는 친박(親朴)과 비박(非朴) 진영이 경선 방식 등을 놓고 사사건건 부딪치다 아무 성과 없이 끝났다. 6일 예정된 특위에서도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한다.
현재 쟁점은 경선에서 일반 국민과 당원 반영 비율, 정치 신인 가산점과 단수·우선 추천제 적용 범위 등이다. 친박은 당원 비율을 50%로 하고 장차관과 청와대 비서관 등에게도 가산점을 부여하며 단수·우선 추천을 확대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비박은 일반 국민 비율을 70%로 늘리고, 친박에게 유리한 신인 가산점과 단수·우선 추천은 최소화하자고 맞서 있다. 국민 입장에서 보면 별 차이가 없는 기준을 놓고 다투고 있는 것이다.
전문성과 소양을 갖춘 참신한 신인과 리더십·능력이 있는 정치인을 제대로 발굴·공천하느냐가 총선의 승부를 가를 수 있다. 하지만 여당 내 다툼은 이와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친박과 비박이 서로 자기 쪽 인물을 꽂아 넣고 지분을 더 챙기기 위한 밥그릇 다툼으로밖에 비치지 않는다. 친박 내에선 누가 더 진실한 사람인가를 가려내려는 한심한 움직임마저 나타나고 있다. 누가 더 국민을 위해 일할 능력이 있느냐는 공적(公的) 기준을 갖고 공천하기보다는 개인적인 친소(親疏)나 충성심 같은 사적(私的) 관계를 기준으로 공천을 하려고 하는 것이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야권 분열은 선거에서 우리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망국적(亡國的)인 국회선진화법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180석을 얻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여당이 국민의 마음을 얻기 위해 무슨 노력을 했는지 되돌아보고 하는 말인지 의문이 든다. 주요 쟁점 법안은 야당을 설득하지 못해 손도 못 대고 있다. 청와대 눈치를 보며 끌려다니느라 '거수기'라는 말도 듣고 있다. 새누리당 예비 후보들이 참다못해 선거구 획정 무산을 비판하며 행정소송까지 내는 판국이다.
야권에선 더불어민주당과 안철수 신당이 '혁신'을 내세우며 인재 영입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여당에선 인재 수혈이라는 말 자체가 나오지 않고 있다. 인재영입위원장은 한 달째 공석이다. 새로운 정책 어젠다도 개발하지 못한 상태다.
새누리당은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당 지지율이 왜 5~10%포인트가량 빠지고 있는지 심각하게 되새겨봐야 한다. 야권이 분열한 뒤 그 반작용이 여권에까지 미치고 있는 조짐이 뚜렷하다. 자칫 '개혁 이미지는 신당에 뺏기고 꼴보수 기득권 당(黨)으로 낙인찍히는 것 아니냐'는 당내 일각의 우려가 현실이 될 수도 있다. 스스로 쇄신하지 않고 야권 분열에 따른 '3자 구도 필승론'에만 기대고 있다면 '180석' 주장은 공허한 메아리로 끝날 것이다.
[사설] 새해 밝자마자 차이나 쇼크, 구조 改革 더 속도 내라는 경고
[사설] 걸핏하면 사장 바꾸더니 짐도 제대로 못 싣는 인천공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