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건강검진 결과를 받아든 김모(55·주부)씨는 가슴을 쓸어내렸다. 처음 받아본 위 내시경 검진에서 1㎝짜리 암이 발견됐다. 하지만 암이 위 점막에만 있었고 조기(早期) 발견한 덕분에 내시경 시술(ESD)로 간단히 제거할 수 있었다. 김씨는 "번거로운 내시경 검사를 계속 미뤄왔는데 검진 덕분에 암을 일찍 발견해 다행"이라고 말했다.

암과 싸워 이기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국립암센터가 2013년 국가 암 통계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 새(2009~2013년) 암에 걸린 환자 가운데 69.4%가 5년 이상 생존해 미국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전문가들은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한 암의 조기 발견이 1등 공신"이라고 말했다.

조기 발견이 일등 공신

2001~2005년과 비교하면, 특히 위암(57.7→73.1%)과 대장암(66.6→75.6%)의 5년 생존율이 높아졌다. 노성훈 연세암병원 원장은 "최근에는 위암 환자 가운데 절반 정도가 조기 발견된다"면서 "일찍 발견할수록 치료는 쉽고 효과는 뛰어나다"고 말했다. 대장암 역시 내시경 검사를 통해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가 잘 되는 암이다. 심지어 대장암으로 발전하기 전 단계인 용종(폴립·대장 점막이 비정상적으로 자라 혹처럼 돌출한 것)일 때 찾아내 내시경으로 '암의 싹'을 잘라 버리는 경우도 많다. 노 원장은 "특히 한국인에게 흔한 위암, 간암의 경우 (국내 의료진이) 많은 경험을 쌓아 수술 기술도 월등하다"면서 "암의 성질을 정확히 파악해 절제 부위를 최소화하고 후유증을 줄이는 측면에서는 미국, 일본보다도 나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국민보건향상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된 정부출연기관 국립암센터는…]

[전립선암에 좋은 음식... 토마토, 수박, 그리고 '이것']

[암 잡는 개똥쑥? '항암제보다 1200배 높은 항암효과']

원영주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장은 "2004년부터 국가가 건강보험을 통해 5대 암(위·대장·간·유방·자궁경부암) 검진을 지원하면서 암 검진 비율이 2004년 45.7%에서 올해 84.3%로 급증했다"면서 "다른 나라에선 보기 힘든 이런 제도 덕분에 암 조기 발견이 는 것"이라고 말했다.

암이 상당히 진행되거나 심지어 다른 장기로 전이된 후에 발견되더라도 암 환자의 생존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다양한 치료법이 개발된 것도 암 환자 생존율을 끌어올린 요인이다. 방영주 서울대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수술 후 병행하는 보조요법이나 항암제의 발달로 3~4기 암 환자의 생존 기간도 늘고 있다"면서 "한때 불치병으로 여기던 폐암도 5년 생존율이 (10여년 전보다) 배 가까이(16.2→23.5%) 올랐다"고 말했다.

암 환자 발생도 감소

2013년 새로 발생한 암 환자는 22만5343명으로 2012년보다 873명 감소했다. 1999년 전국 단위의 암 통계 산출을 시작한 이래 전년 대비 암 환자 수가 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00년 이후 계속 증가하던 암 발생률도 2011년 인구 10만명당 324.2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12년 322.3명, 2013년 311.6명으로 2년 연속 감소했다.

이런 변화는 주로 갑상선암, 대장암, 위암, 간암의 감소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남자는 2012년에 비해 주로 대장암·위암·간암 발생이 줄었고 여자는 갑상선암·대장암·위암이 많이 감소했다. 맵고 짠 음식 섭취가 많이 줄고, 위암의 원인이 되는 헬리코박터균을 없애는 치료가 는 것이 위암을 줄였고, A·B형 간염 예방 접종 확대로 간염이 감소한 것이 간암 감소 요인으로 꼽힌다. 간염이 만성화하면 간경변을 거쳐 간암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밖에 갑상선암에 대한 과잉 검사가 줄고, 남성 흡연율이 감소한 것도 암 발생을 줄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유방암은 연평균 5.6%씩 유독 증가하고 있다. 노동영 서울대병원 외과 교수는 "갈수록 빨라지는 초경과 늦은 결혼, 출산이나 모유 수유 기피, 운동 부족, 동물성 지방 섭취 증가 같은 요인이 겹치면서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유방암 증가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