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은 이명박 정부 때부터 야당과 좌파, 환경 단체 등으로부터 집중 공격을 받았다. 박근혜 정부도 감사원 감사를 실시하는 등 호의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1973년 관측 이후 최저 수준(평년 대비 65%)의 비가 내린 올해, 16개 보(洑)에 담긴 11억7000만t의 물이 재조명되고 있다. 정부와 여당에선 "4대강의 복권(復權)" "한때는 '재앙' 같았지만 지금은 말 그대로 가뭄 속 단비 역할" 등과 같은 말도 나온다. 야당도 '4대강 사업' 자체는 아니지만 거기에 고여 있는 수자원의 활용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다.

새누리당과 정부는 지난 11일 총 2036억5000만원 규모의 가뭄 긴급 대책을 내놓았다. 이 중 4대강 물을 활용한 사업의 예산이 1074억원(전체의 53%)이다. 가뭄 대책의 절반 이상이 4대강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달부터는 금강 공주보부터 가뭄 지역인 예당지까지 31㎞의 도수관을 건설하는 사업에 착수, 2017년 말까지 공사를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내년 말까지 낙동강 상주보에서도 11.5㎞ 관로를 끌어다 경북 가뭄 지역에 물을 댄다. 두 공사가 완공되면 충남 7887㏊, 경북 798㏊의 농경지가 가뭄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최근 착공한 금강 백제보 도수관로 사업(21㎞)도 조기 완공을 위해 국비에서 예산을 지원키로 했다.

정부는 2029년까지 1조900억원을 투입해 4대강 11개 보에 담긴 물을 가뭄 지역에 끌어오겠다는 '4대강 하천수 공급 마스터 플랜'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