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가 지난 8·25 남북 합의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론조사 기관인 한국갤럽이 6일 발표한 11월 첫째 주 주간 정례조사 결과에 따르면 박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는 응답(지지율)은 41%로 전주 대비 3%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박 대통령이 직무 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49%로 전주 대비 5%포인트 상승했다.
긍정률은 8·25 남북 합의 후 최저치, 부정률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갤럽은 밝혔다.
세대별 긍정/부정률은 20대 13%/78%, 30대 22%/70%, 40대 30%/60%, 50대 54%/32%, 60세 이상 78%/14%로, 20~40대에서의 부정률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 정당별로는 새누리당 지지층의 79%는 ‘잘하고 있다’고 답했고,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 86%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무당층에서도 긍정률(19%)보다 부정률(62%)이 더 높았다.
부정 평가 요인으로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가 30%로 4주 연속 가장 많았다.
이에 대해 갤럽은 지난 3일 황교안 국무총리가 대국민 담화를 통해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확정고시한 점을 들어 “지난 주까지 3주간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여론이 찬성보다 반대 쪽으로 기울고 있었다”며 “(확정고시) 일정까지 앞당긴 정부의 발표는 비(非)지지층의 반감(反感)을 더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정당 지지도에서는 새누리당이 41%로 전주 대비 2%포인트 상승했고, 새정치민주연합은 전주 대비 2%포인트 하락한 20%를 기록했다. 새누리당 지지도는 8·25 남북 합의 이후 하락세였다가 이번 주 처음으로 반등한 반면, 새정치연합 지지도는 최근 2주 연속 하락하면서 올해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3~5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임의번호 걸기(RDD)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