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북 좌파'와의 전적… 체제·이념 문제 전문가 황교안 국무총리는?]

황교안 국무총리가 3일 대국민 담화를 직접 발표하면서 역사 교과서 국정화 전선(戰線)의 전면에 나섰다. 정부가 '황교안'이란 브랜드를 내세워 국가 정체성을 바로 세우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황 총리가 국정화 확정 고시일에 맞춰 전면에 나선 건 우선 주무 부처인 교육부 수장의 장기 공백이 사실상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교과서 이슈에 내내 소극적이어서 여권에서 불만이 터져 나온 데다 총선 출마를 위해 교체를 앞두고 있어 정부 안팎에 영(令)이 제대로 서지 않았다. 후임 장관이 지명되더라도 야당이 교과서 문제를 걸어 인사청문회 통과를 지연시킬 경우 자리가 한 달 이상 빌 가능성도 있다.

무엇보다 황 총리는 '종북 좌파'라는 체제 부정 세력과 싸워서 전과(戰果)를 거둔 경험이 있다. 지난해 12월 법무부 장관 당시 정부 소송 대리인으로 나서 통합진보당을 해산하라는 헌법재판소 결정을 이끌어냈다. 그는 검사 시절 국가보안법 해설서를 낼 정도로 체제·이념 문제에 전문성이 있는 공안(公安) 검사로 유명했다. 당시 관가(官街)에선 박근혜 대통령이 "다른 국무위원들도 황 장관만큼만 일을 잘했으면 좋겠다"고 했다는 얘기가 돌았고, 그는 실제로 그 반년 뒤에 총리로 발탁됐다.

황 총리는 최근 측근들에게 "나도 역사 교과서에 대해서는 진작부터 문제라고 생각해왔다"고 말했다고 한다. 법무장관 시절인 2013년 일선 학교에 '헌법 가치'를 주제로 강의하러 갔다가 학생들에게 "6·25전쟁을 누가 일으켰는지 아느냐"고 물었더니 "미국" "일본" 등의 대답이 이어져 충격을 받았던 경험도 얘기했다고 한다. 황 총리는 지난 10월 국회 대정부 질문에 나서기 전 "현행 역사 교과서들을 다 구해 오라"고 해서 모두 숙독(熟讀)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대정부 질문에서 야당 의원들이 시청각 자료 등을 이용해 공격적인 질문을 하는 것을 보고 "정부도 제대로 대응하려면 발표 때 국민의 주목도를 높일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시했다고 한다. 황 총리는 3일 담화 발표 때 총리로선 이례적으로 파워 포인트 자료를 직접 짚어가며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을 지적했는데, 이때의 지시로 만들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황 총리는 지난 6월 메르스 사태 속에서 취임한 뒤 안전 문제를 챙기는 모습을 한동안 보여 왔다. 총리실 주변에선 "황 총리가 역사 교과서라는 이슈를 만나면서 이제야 '몸에 맞는 옷'을 입게 됐다"는 평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