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2일 "지금 민생 문제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40여만 명의 국민들이 국정교과서 반대 의견을 전달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서명에 참여했다. 이마저도 일부 종북 세력의 준동으로 호도할 것인가"라며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정부와 청와대는 국민의 의견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국정화 고시를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새정치연합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특위 위원들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를 찾아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국민의견 전달에 앞서 이날 오전 국회 본청 앞에서 성명서를 발표했다.
특위는 성명서에서 “소모적인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지금부터라도 민생문제 해결에 매진하기를 기대한다"며 “지금의 결단이 불통을 소통으로, 분열을 화합으로 이끌 유일한 대안임을 다시 한 번 천명하며 대통령의 과감한 결단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특위는 또 “야당 교문위원들을 비롯한 수많은 국민과 학자들, 교사, 학생 및 학부모들이 국정화 반대를 한목소리로 외쳐왔지만, 오히려 정부는 행정예고 기간 중임에도 예비비로 예산을 편성하고, 국정화 추진 일정을 발표하는 등 국민 의견과 상관없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강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위는 이어 “지금까지 시민들의 참여로 모인 국정화 반대 서명과 행정예고 의견서를 세종시에 있는 교육부로 직접 가서 전달하기로 했다"며 "지금까지 모인 서명은 총 40여 만명분이며 취합된 의견서는 1만8000부에 달한다"고 밝혔다.
특위는 “정부는 국정화 추진의 주요 이유로, 정부의 수정 요구에 대한 집필자들의 소송을 들었다"며 "현재 소송 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았음에도 이를 부정하는 정부의 방침은 법치주의를 부정하는 것이며, 독재의 서곡이 아닌지 우려할 수밖에 없다"고도 했다.
특위는 그러면서 “본인의 생각과 다른 모든 것을 부정하는 것이 독재다. 심지어 보수적 학계에서도 국정화에 대한 우려를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다”며 “수많은 양심적이고 합리적인 보수 세력들까지 적대시해가며 국정화를 강행해서 무엇을 얻고자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대표는 “압도적으로 많은 국민들이 역사 국정교과서에 반대하고 있다”면서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한다는 것이 요식행위가 아니라면, 빈말이 아니었다면 이제 박근혜 대통령과 정부는 국민들의 의견을 겸허하게 수용해 주길 바란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고시 철회하고 경제와 민생 살리기에 전념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문 대표는 또 “국민들이 이렇게 압도적으로 반대하는데도 확정고시만 하면 끝이라고 정부가 생각한다면 오산”이라며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고시를 강행하더라도 시대를 거꾸로 가는 역사 국정교과서에 대해서 국민들은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그 이후에 일어나는 여러 혼란에 대해서 정부는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표는 이어 “우리 당도 결코 굴하지 않을 것”이라며 “헌법 소원을 비롯한 법적 수단과 함께 집필 거부 운동, 대안교과서 운동을 비롯한 불복(不服) 운동을 계속해 나가겠다. 나아가 내년 총선에서 기필코 승리해서 역사 국정교과서 폐지하고 다시 되돌리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