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7일 "일부에서 역사 교과서 국정화로 역사 왜곡이나 미화가 있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지만, 그런 교과서가 나오는 것은 저부터 절대로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국회에서 2016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을 통해 "집필되지도 않은 교과서, 일어나지도 않을 일을 두고 더 이상 왜곡과 혼란은 없어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27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2016년도 예산안과 관련한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일부에서 역사 교과서 국정화로 역사 왜곡이나 미화가 있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지만, 그런 교과서가 나오는 것은 저부터 절대로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 작업을 "역사 교육의 정상화"라고 하면서 "미래의 주역인 우리 아이들이 역사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긍심을 갖고 자라도록 하기 위한 우리 세대의 사명"이라고 했다. 이어 "역사를 바로잡는 것은 정쟁의 대상이 될 수 없고, 되어서도 안 되는 것"이라며 "올바른 역사 교과서를 통해 분열된 국론을 통합하고, 우리 아이들에게 대한민국의 자부심과 정통성을 심어줄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이 같은 언급은 '국사 교과서 국정화는 친일·독재에 대한 미화 시도'라는 야권(野圈) 공세에 대한 적극적인 반박으로 해석된다. 자신부터 앞장서 과거를 왜곡하거나 미화하는 국사 교과서를 만들지 않겠다는 의지를 야당 의원들 앞에서 밝히려 했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 대목에서 결연한 표정으로 야당 의원들의 의석을 바라보면서 강한 손동작과 함께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야권에선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 현직 대통령인 상황에서 그 시대를 미화하지 않는 국정교과서가 가능하겠느냐"는 지적이 여전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이언주 원내대변인은 "많은 전문가와 역사학계는 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이 박 대통령으로부터 시작됐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그 말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시정연설에서 내년 예산안에 대해 "경제 혁신 3개년 계획이 성공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4대 개혁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 예산"이라며 법정 시한(12월 2일) 내 처리를 당부했다. 또 "어렵고 힘들더라도 구조 개혁을 통해 근본적인 처방을 해야만 우리 청년들에게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 줄 수 있고, 우리의 미래 세대에게 건강한 대한민국을 물려줄 수 있기 때문에 4대 개혁은 어떠한 고통이 따르더라도 반드시 완수해야 하는 시대적 과제"라고도 했다.

박 대통령은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국제의료사업지원법, 관광진흥법 등 중요한 경제 활성화 법안들이 수년째 처리되지 못하고 국회에 계류되어 있어 너무나 안타깝고 가슴이 타들어가는 심정"이라며 조속한 법안 처리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