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 차이나데일리는 27일 중국의 대표적 인구 전문가를 인용해 "중국은 한 자녀 정책을 완화할 것"이라며 "중국 부부 1억쌍이 두 자녀를 낳도록 허용할 전망"이라고 했다. 이는 중국이 2016~20년 추진할 국가 발전 로드맵인 '국민경제 및 사회 발전에 관한 13차 5개년 계획(13·5 규획)'에 엄격했던 산아 제한 정책을 푸는 내용을 포함할 것이란 의미로 해석된다. 중국은 26~29일 열리는 공산당 18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5중 전회)에서 '13차 5개년 계획'을 논의한다.

중국 인구 정책에 관여하는 위안신 난카이대 교수는 이날 "중국은 2013년 부부가 모두 독자(獨子)인 경우에 한해 두 자녀까지 낳게 하는 정책을 도입했지만, 혜택을 받은 부부 1100만쌍에서 태어난 둘째 아이는 150여만명에 불과했다"며 "조만간 두 자녀를 대폭 허용하는 정책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신세대 부부는 양육비·교육비 부담 때문에 인구 정책과 상관없이 한 자녀만 낳는 추세다. 그동안 중국은 풍부하고 저렴한 노동력 덕분에 고속 성장을 이뤘지만, 중국의 노동 가능 인구(16~59세)는 2011년을 정점으로 줄기 시작했다. 한 자녀 정책을 고수하면서 남녀 성비(性比)가 무너지는 바람에 2020년이면 결혼 적령기의 남성 3000만명이 짝을 찾지 못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쎼쭤스(謝作詩) 저장재경대 교수는 최근 독신남 해결책으로 '일처다부제(一妻多夫制)'까지 주장했다.

한편 신경보(新京報)는 이날 중국이 동북지역 진흥이 13차 5개년 계획의 중점 사업으로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랴오닝·지린·헤이룽장으로 이뤄진 동북 3성은 북한과 국경을 맞댄 곳으로, 북·중 경협 활성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 매체는 새 동북 전략이 이 지역의 단점인 대외 개방을 대폭 확대하고, (중국) 수도권과 협력 개발하며, 일대일로(一帶一路·신실크로드 전략)와 연결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랴오닝성은 지난 15일 북·중 교역의 70%가 이뤄지는 단둥에 양국 주민이 무관세로 교역할 수 있는 '호시(互市) 무역구' 문을 100년 만에 다시 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