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6~2020년 중국 경제·사회정책의 로드맵을 결정할 공산당 제18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 회의(5중 전회)가 26일 베이징 징시(京西)호텔에서 비공개로 개막했다. 5중 전회란 시진핑 집권 이후 다섯 번째로 열리는 공산당 전체 회의란 뜻이다.

시진핑 총서기를 포함해 350여명의 공산당 지도부가 총출동한 가운데 오는 29일까지 열리는 이번 회의에서 중국은 '국민경제 및 사회 발전에 관한 제13차 5개년 계획(2016~2020)'을 논의한다. 이와 관련, 전 세계 투자자들의 최대 관심사는 중국 공산당이 제시할 향후 5년간 경제성장률 목표치다.

중국은 1990년대 이후 5개년 계획을 발표할 때마다 연평균 7~8%대 성장률 목표치를 제시했고 언제나 이를 초과 달성해왔다. 지난 2011~2015년 성장률 목표치 7%도 실제 성장률 8%로 무난히 이뤄냈다. 그러나 이번에는 목표치를 처음으로 6%대로 낮출 것이란 분석이 국제 금융시장에서 나온다. '바오치(保七·7%대 성장) 시대'의 종언을 고하면서 '바오류(保六·6%대 성장) 시대'의 시작을 선포할 수 있다는 의미다.

지난 3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은 6년 반 만에 처음으로 6%대(6.9%)로 내려갔다. 중국의 경기 둔화가 세계경제의 최대 위험 요인으로 떠오른 상황에서 중국 정부의 공식적인 '감속(減速) 선언'은 한국을 비롯한 세계경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 성장률이 연간 1%포인트 떨어지면 아시아 국가 국내총생산(GDP)이 0.8%포인트 감소하는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고위 인사들은 5중 전회가 열리기 전부터 '바오류 시대'의 개막을 예고해 왔다.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리강 부행장은 24일 기자회견에서 "중국은 앞으로 3~5년간 연평균 6~7%씩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급 과잉, 지역 및 계층 간 빈부 격차, 그림자 금융 등 산적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성장 목표를 낮출 필요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도이체방크는 "중국이 성장 목표를 연 6.5%로 낮춰 잡는다면 중국 정부가 성장 둔화를 감내하고 구조 개혁을 위한 여지를 마련하겠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