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오늘 광화문광장서 첫 장외집회]

지난 25일 밤 "정부가 국사 교과서 국정화 '비선(秘線)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며 서울 종로구 국제교육원에서 밤샘 농성을 했던 야당 의원들은 26일 오후 3시쯤 현장에서 19시간 만에 철수했다. 대신 야당은 27일 교과서 문제와 관련해 서울 광화문에서 장외 집회를 열고 시민단체와 함께 촛불 집회도 하기로 했다.

야당은 전날 심야에 찾아간 것에 대해 "제보를 입수한 뒤 관련 상임위원으로서 교육부에 해명을 요구했지만 무시당했다. 그래서 확인차 갈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그러나 국회의원들이 국회 상임위나 자료 요청 등 합법 절차를 거치기 전에 행정기관에 몰려가 "사무실을 확인하자"고 한 행위에 대해선 "국회의원들이 행정부 업무를 방해할 권한이 있느냐"는 적법성, 월권(越權) 논란이 제기됐다. 야당 스스로도 이날 "현장에서 더 이상 할 것도 없고 괜히 불필요한 (감금) 논란을 일으킬 필요가 없다"며 대치 상황을 풀었다. 팽팽한 여론전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심야 급습과 경찰 대치라는 80년대식 상황'이 가져올 역효과를 우려한 측면이 있다.

이 같은 과잉 대응 논란은 여권(與圈)에 반격의 호재(好材)를 제공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새누리당 서청원 최고위원은 이날 "야당이 화적떼냐"고 했고,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야당 의원들이 공무원을 범죄자로 취급하며 사무실에 쳐들어간 것은 중대한 업무 방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은 "정부의 불법 행위를 현장에서 적발·확인하기 위한 의정 활동의 일환"이라고 했다. 교육부에 자료 요청 등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바로 '행동'에 나선 것에 대해 유은혜 대변인은 "문제가 없다면 교육부 직원들이 우리를 데리고 들어가 설명하면 되는데 오히려 경찰을 불러 의정 활동을 방해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