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1일 청와대의 '안심번호 합의' 비난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합의 발표 전에 청와대에 미리 알렸다"고 내막을 공개하며 반격에 나섰다.

전날 "더이상 참지 않겠다"던 김 대표가 청와대를 향해 적극적인 공세로 나아가는 모습이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여야 대표 회동 전 청와대에 내용을 통보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청와대로부터) 찬성, 반대 의사는 듣지 않았지만 이러한 방향으로 내가 전개하려고 한다는 것은 상의했다"며 "(회동이)끝나고 난 뒤 발표문을 그대로 찍어 다 보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청와대 측은) 그냥 듣기만 했다"며 "누구와 통화했는지는 밝히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당 대표로서 어떤 비판도 수용하지만 없는 사실을 갖고 자꾸 비난하면 당이 분열만 된다. 그럼 선거에 불리해진다"며 "지금 야당은 분열됐고 우리는 그동안 잘 단결했는데 우리가 분열되면 똑같은 입장이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청원 최고위원의 비판 발언에 대해서는 "일문일답식으로 대응할 생각이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어제 모두 동의하는 결론을 낸 것을 갖고 다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면 되지 이걸로 정치적 공방을 하는 것은 옳지 못하기 때문에 대응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서 최고위원이 김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에 정치생명을 건 것을 비판한 것에 대해서는 "의총서 수차례에 걸쳐 토론한 결과를 당론으로 채택했다. 이걸 정치 개혁이라고 인정하고 있다"며 "개혁안을 관철하기 위해 당 대표가 노력하는 차원에서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한 게 잘못됐냐"고 반박했다.

김 대표는 청와대의 공천 개입 논란에도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다"며 "어제 의총에서 내린 결론은, 국민공천제 취지 하에서 미국식 오픈프라이머리가 현실적으로 안 되기 때문에 그 취지에 입각한 다른 방법을 모색해보자고 한 것"이라고 답했다.

공천 관련 기구에 대해서는 "논의 내용은 자유"라며 "하지만 만약 기구에서 전략공천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도 개인적으로, 당 대표로서 전혀 생각이 없다"고 못박았다.

한편 이날 최고위원회의, 국군의 날 행사 등 일정 취소에 대해서는 "감기가 나은 듯 했는데 재발한 것 같고 몸도 안 좋고 해서 늦게 일어난 것"이라며 "너무 의미를 두지 말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