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하이 증시가 지난 27일 8.48%나 급락한 데 이어 28일에도 1.68% 하락했다. 27일엔 상하이와 선전 증시에서 가격변동 제한폭(10%)까지 떨어진 하한가 종목이 1800여개로 전체 상장 종목의 절반을 훨씬 넘었다. 상하이 증시는 28일 4% 이상 하락세로 출발했다가 낙폭을 상당히 줄이기는 했지만 결국 반등(反騰)에는 실패했다. 중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투자 심리가 걷잡을 수 없이 얼어붙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 6월 중순 이후 부양 대책을 잇따라 내놨다. 상장회사 대주주가 6개월 동안 주식을 팔지 못하도록 막았다. 공안 당국이 악성 공(空)매도에 대한 수사 방침을 밝히는 등 초강력 대책을 쏟아냈다. 그 후 상하이종합지수는 3500선에서 4120선까지 회복됐지만 이번에 다시 3660선으로 밀렸다. '관제(官製) 주가'가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정부의 과도한 시장 개입은 오히려 중국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불신(不信)만 키우고 있다. 중국 정부가 발표하는 통계를 믿을 수 없다는 여론도 강해지고 있다. 여기다 국내총생산(GDP)의 160%에 이르는 기업 부채 문제가 새로 부각되고 있다. 중국 기업들끼리의 과당경쟁으로 수익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어 연쇄 부도 사태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부실기업 문제는 중국 경제의 시한폭탄이나 다름없다. 그동안 고도성장에 가려져 있던 중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점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도 중국 증시는 계속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실물 경제도 더 위축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점점 힘을 얻고 있다. 중국 경제의 경(硬)착륙 위험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만약 중국 정부가 주식시장 붕괴를 막지 못하고 그 충격이 실물 경제로 번져가면 경기 침체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진다. 부동산·주가의 동시 폭락으로 중산층의 불만이 폭발하면 정국(政局)도 불안해질 우려가 있다.

이미 저성장 국면에 들어선 한국 경제에 중국 쇼크는 가장 나쁜 시기에 닥친 악재(惡材)이다. 정부나 기업들은 중국발(發) 경제 쇼크가 단기간 내에 끝날 것으로 오판해서는 안 된다. 중국 경제의 상황을 면밀하게 점검하며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대책을 세워놓아야 한다.

[사설] 포스코 수사, 다섯 달 내리 팠으면 할 만큼 하지 않았나
[사설] 메르스 종식, 이참에 감염병 전문 병원 설립도 매듭지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