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중국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1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철도·광업·정보통신·산업단지 등 24개 협력 문건에 서명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양국이 이날 합의한 경제협력 규모는 100억달러(약 11조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리 총리는 이날 "양국은 항공·우주에서 지진까지, 즉 하늘부터 땅까지 협력하기로 합의했다"며 "세계 양대 개발도상국인 중국과 인도의 관계 발전은 26억 인구의 복지와 관련된 문제"라고 말했다. 모디 총리는 "양국은 경제적 상호 보완성이 매우 크다"고 했다.

세계 1·2위 인구 대국인 중국과 인도의 경제 규모를 감안하면 100억달러 협력은 규모가 매우 큰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오랜 '앙숙'이던 양국이 본격적인 경제협력의 물꼬를 튼 것이라고 해석하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중국과 인도는 1962년 히말라야 지역의 국경 분쟁으로 전쟁까지 치렀다. 이 때문에 중국과 인도의 지난해 교역 규모는 706억달러에 그쳤다. 한·중 교역액의 28% 수준이다. 2013년 기준 인도를 방문한 중국 관광객은 17만5000여명이다. 반면 같은 기간 한국을 찾은 중국 유커(遊客·관광객)는 430만명에 달했다. 인구 13억6000만 중국과 12억4000만 인도의 교류치고는 저조한 성적표다.

60년 넘게 냉랭했던 양국 관계는 시진핑(習近平) 주석과 모디 총리가 집권하면서 온기가 돌기 시작했다. 모디 총리는 구자라트 주지사 시절 "중국 경제를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값싼 노동력을 활용하는 개혁·개방 초기의 '중국 모델'을 구자라트주에 적용해 연 10% 경제성장을 이뤘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모디는 역대 인도 총리 중 가장 친중(親中)적 인물"이라며 "이번 방중을 통해 양국은 국경 문제 등으로 껄끄러웠던 관계를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양국 총리는 "국경 등 민감한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하자"고 합의했다. 국경 분쟁이 경제협력의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관리하자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중국과 인도는 정치·경제적으로 서로가 꼭 필요하다. 성장 엔진이 꺼져가는 중국은 세계 최대 시장으로 떠오른 인도를 잡아야 한다. 장기적으로 1조달러(약 1100조원)의 개발 자금이 필요한 인도는 세계 최대 외환보유국인 중국의 투자가 절실하다. 시 주석은 지난 9월 "세계의 공장(중국)과 세계의 사무실(인도)이 힘을 합치면 경쟁력 있는 생산 기지와 소비 시장이 될 수 있다"고 했었다. 중국과 인도가 '인구 26억 경제권'을 가동할 경우, 시 주석 말대로 "세계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두 개의 엔진"이 탄생하는 것이란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