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모임' 소속 정동영 전 의원은 30일 "정치권의 지각변동을 일으키겠다"며 4·29 재·보궐선거 서울 관악을 출마를 선언했다. 지난 1월 야권 재편을 내걸고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했던 정 전 의원의 출마에 새정치연합은 "너 죽고 나 죽자는 것이냐"며 반발했다. 이미 광주 서을에서는 천정배 전 의원이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한 상태여서 사실상 '야권 내전(內戰)'이 시작된 셈이다.

국민모임 정동영 전 의원이 30일 서울 여의도에 있는 자신의 사무실에서 서울 관악을 4·29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했다(아래 오른쪽 사진). 이에 따라 새정치민주연합은 비상이 걸렸고, 새누리당은 한 번도 이겨 보지 못했던 이 지역에서‘희망’을 갖기 시작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이날 관악을에 출마한 오신환 후보와 함께 지역 내 아파트 안전문제를 점검하고 있다(맨 위 사진).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도 이날 관악을 지역을 찾아 정태호 후보에게 운동화를 신겨주며 열심히 뛰어줄 것을 당부했다(아래 왼쪽 사진).

정 전 의원은 이날 서울 여의도 자신의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번 선거는 이대로가 좋다는 기득권 정치 세력과 이대로는 안 된다는 국민 간 한 판 대결"이라며 "국민모임과 정동영의 승리는 박근혜 정권에 대한 심판임과 동시에 정치판 지각변동을 가져와 여야 모두 정신 차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전 의원 측은 출마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이길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국민모임 핵심 관계자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새정치연합 후보를 앞서는 결과가 나왔고 호남 출신의 비노(非盧) 성향 유권자와 호남 향우회도 우리를 지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야당 경선 후유증의 틈을 노리겠다는 계산도 있다. 새정치연합의 이 지역 경선에선 노무현 정부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정태호 후보가 옛 민주당 출신의 김희철 전 의원에게 0.6%포인트 차이로 이겼지만 감정적 앙금이 남아 있다. 여기에 진보 정당을 표방했던 '국민모임'이 낮은 지명도로 4월 재·보선에 후보를 내지 못하면서 생사(生死) 갈림길에 선 것도 그의 출마를 결심하게 된 이유 중 하나다. 정 전 의원은 "재·보선 빈손의 결과로는 대안 야당을 건설할 수 없다는 판단이 저를 던지게 만들었다"고 밝혔다. 국민모임은 정 전 의원 출마로 광주 서을에 무소속으로 출마한 천정배 전 의원과의 '반(反)새누리당, 비(非)새정치연합' 연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정 전 의원이 문재인 대표의 핵심 참모인 정태호 후보 지역구를 택한 것도 '반(反)문재인 효과'를 노린 것"이라고 야권 관계자들은 분석했다.

새정치연합은 "야권 분열"이라며 반발했다. 문재인 대표는 정 전 의원 출마 소식을 듣고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선택인지 모르겠다"며 "국민은 박근혜 정권을 심판하고 정권 교체의 발판을 만들자는 것인데 야권을 분열시키는 행태가 지지를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야권 후보 단일화와 관련, 문 대표는 "정 전 의원과 후보 단일화를 놓고 논의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추미애 최고위원은 "너 죽고 나 죽자는 결과로 귀결될 뿐"이라고 했고, 정태호 후보는 "떴다방 정치" "야권 분열의 주역"이라고 했다. 새정치연합 측은 정 전 의원의 출마 명분이 약하기 때문에 판세에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기대도 하고 있다.

하지만 야당 안에서는 '재·보선 전패(全敗)'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서울 관악을은 1988년 총선 이후 27년 동안 야당이 한 번도 의석을 내준 적이 없는 야권 초강세 지역이다. 그러나 정 전 의원 출마로 이곳에서는 새누리당 오신환 후보와 새정치연합 정태호 후보, 정 전 의원 외에 정의당 이동영, 노동당 나경채, 통진당 출신 무소속 이상규 후보 등 '여(與) 1, 야(野) 5' 구도로 치러지게 됐다. 야당 관계자는 "아무리 야권 강세 지역이라도 이런 상황에서는 새누리당을 이길 수가 없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서울 관악을뿐 아니라 경기 성남중원 등 다른 재·보선 지역에서도 승기를 잡지 못했다는 자체 평가를 하고 있다.

TV조선 화면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