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조선 화면 캡처

미국 정부가 소니 픽처스 해킹의 배후로 북한을 지목한 것은 2010년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한국 등 동맹국들의 도움으로 북한 네트워크에 침투, 북한 해커들의 내부 작업을 추적할 수 있는 코드를 심었기 때문이라고 뉴욕타임스(NYT)가 18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NYT는 새로 공개된 NSA 기밀문서와 전직 정부 당국자들의 증언 등을 토대로 "NSA가 북한을 다른 나라와 잇는 중국 네트워크를 타고 들어간 뒤 북한 해커들이 즐겨 쓰는 말레이시아의 회선을 골라내 북한 네트워크로 직접 침투할 수 있었다"고 했다. NSA는 지난 10여년 동안 중국의 컴퓨터와 통신 시스템을 해킹해 중국 내부의 정보를 광범위하게 빼내온 것으로 알려졌었다.

NYT는 "미국 정부가 북한 네트워크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었기에 북한이 소니 해킹의 배후라고 신속하게 결론 내릴 수 있었던 것"이라는 사이버전 전문가 의견을 소개했다. 하지만 북한 해커들의 움직임을 추적해온 미국 정부가 지난해 김정은 암살을 소재로 한 영화 '인터뷰'의 예고편이 공개된 뒤 시작된 북한의 보복 예고에도 불구하고 소니에 해킹 경고를 하지 않은 점은 의문이라고 NYT는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