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1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제1세션에 참석, 21개 APEC 회원국 전체가 참여하는 경제 통합 모델인 아시아·태평양자유무역지대(FTAAP) 실현을 강조하면서 "FTAAP 실현을 위한 로드맵 채택을 적극 지지한다"고 했다.
2006년부터 아·태 지역 전체를 자유무역 지대로 만들기 위해 논의돼 온 FTAAP는 미국이 주도하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대항하는 성격이 짙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우리는 TPP 참여 의사는 밝혔지만 가입 여부는 미정인 상태다. 그래서 박 대통령의 FTAAP 지지 의사 표명이 한·중 FTA 타결과 맞물려 한국의 경제적 대중(對中) 편중화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강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은 "미국이 이끄는 TPP에 가입하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이 주도하는 FTAAP를 지지한 것 자체가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정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지지한 로드맵에는 TPP 체결 노력을 강화한다는 내용도 들어가 있다"며 "FTAAP 자체가 TPP를 포괄하는 큰 틀의 FTA이기 때문에 중국 편을 든 게 아니다"고 했다. 중국 주도의 FTAAP와 미국 주도의 TPP를 모두 추진하겠다는 의미라고도 했다. 윤덕민 국립외교원장은 "자유무역을 확대하겠다는 것은 미국도 중국도 반대하기 힘든 원칙"이라며 "미·중 사이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측면도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