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권문제로 국제사회의 질타를 받아온 북한이 유엔 인권특별보고관의 조건부 방북을 앞두고 대표적 정치범수용소인 요덕수용소(제15호 정치범수용소)를 폐쇄했거나 은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요덕수용소 수감자 출신인 정광일 북한정치범수용소피해자 가족협회 대표는 “북한 내 소식통으로부터 북한이 요덕수용소 혁명화구역과 완전통제구역을 완전히 폐쇄했다는 말을 들었다”면서 “요덕수용소에 수감됐던 인원들은 함경북도 길주 만탑산수용소와 개천수용소에 분리해 수용했다고 한다”고 말했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6일 보도했다. 혁명화구역은 수감자들이 간혹 석방이 되기도 하는 곳이고, 완전통제구역은 석방이 불가능한 곳이다.
정 대표는 “위성사진으로 요덕수용소 지역을 보니 수감자들의 막사가 있던 곳이 모두 헐린 것 같다”며 “수감자들을 수감했다는 흔적이 될만한 곳은 다 헐어버렸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요덕수용소를 폐쇄한 것이 아니라 은폐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자유북한방송은 최근 “인공위성으로부터 (요덕수용소를) 은폐하기 위해 담장의 철조망과 경비초소를 없앴을 뿐 요덕수용소는 (수감자들이) 여전히 감시와 통제를 받는 교화소”라며 북한 내부소식통의 말을 인용 보도했다.
소식통은 “국제사회에서 북한 인권문제와 정치범수용소 문제를 집요하게 들고 나오자 김정은이 (김정은이 국제 형사재판소에 기소된 날인) 10월 8일 북한의 대표적인 요덕수용소를 ‘육안으로 보이지 않게 은폐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며 “세계적으로 정치범 교화소가 물망에 오르자 (요덕수용소 은폐를 통해) 유엔이나 국제사회의 감시망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위성사진에 드러나지 않는 정도로만 요덕수용소를 은폐했다는 지적이다. 소식통은 또 “수용소 내 주요인물(당 간부 또는 이송 대상) 70여명만 다른 곳으로 이송했고, 다른 수감자들은 현지(요덕수용소)에서 농사를 지으라는 보위부와 교화국 지시가 내려졌다”고 말했다.
요덕수용소를 둘러싼 북한 당국의 이같은 움직임은 국제사회가 주목하고 있는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대응책으로 풀이된다. 앞서 북한은 유엔 인권 결의안에서 ‘북한 최고지도자의 국제사법재판소 회부’ 조항을 삭제하면 마르주키 다루스만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등 유엔 인권관련 인사들의 방북 초청을 하겠다고 제의한 바 있다.
한편, 요덕수용소의 수감자 수는 3만~4만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미국의 민간단체 ‘북한인권위원회’는 “위성사진 등 각종 자료를 근거로 폐쇄가 확인된 함경북도 회령수용소(제22호 정치범수용소)에서 8000여명의 수감자의 행방이 묘연해졌다”며 “요덕수용소에 대한 북한 당국의 증거 인멸의 우려되므로 관련 심층 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