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납치 피해자 문제 해결을 명분으로 방북하는 것에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미국은 북한 제재를 일부 해제하는 것에도 불쾌감을 표시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7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상과의 전화 회담에서 "아베 총리가 (납치자 송환을 위해) 방북할 경우,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와 관련한 한·미·일 공조가 흐트러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교도(共同) 통신이 전했다. 기시다 외상은 6월 국회 답변을 통해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해 아베 총리가 북한을 방문하는 것도 선택지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일본에서는 아베 총리가 북한을 전격 방문, 납치 피해자 송환 협상을 타결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케리 장관은 "일본만 앞서 나가는 것은 좋지 않다"면서 "총리가 방북할 경우에는 (직전에) 간다고 통보할 것이 아니라 그에 앞서 우리와 충분히 협의하길 바란다"고 했다.

케리 장관은 일본 정부가 4일 인적 왕래와 송금 제한 등의 일부 대북 제재를 해제한 것에 대해서도 불쾌감을 표시했다고 마이니치(每日)신문은 전했다. 케리 장관은 기시다 외상에게 제재를 추가 해제할 의사가 있는지를 묻고 "추가적인 제재 해제는 신중을 기하길 바란다"고 했다. 교도 통신은 "케리 장관은 40분간 이어진 전화 회담 대부분을 제재 해제에 대해 발언했다"고 전했다.

당시 전화 회담에서 기시다 외상은 아베 총리의 방북 가능성에 대해 "일반론을 언급한 것일 뿐 실제 아베 총리의 방북은 검토하지 않고 있으며, 추가 제재 해제는 검토도 하지 않고 있다"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