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핵 억제력을 대외적으로 과시하기 위해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며 추가 도발 가능성을 시사했다. 리동일〈사진〉 북한 유엔대표부 차석 대사는 24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상호 비방 중단 등 북한이 중대 제안을 발표한 후에도 미국이 의도적으로 한반도의 긴장을 고조시키며 북한을 붕괴시키기 위한 적대 정책을 지속하고 있다"면서 "미국이 북한에 대해 '핵 위협'을 계속하면 북한은 '핵 억제력(nuclear deterrent)'을 과시하는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북한이 작년 2월 3차 핵실험에 이어 4차 핵실험을 강행할지가 주목된다. 그는 "핵무기는 정치적 협상 대상이 아니다"면서 6자회담 재개 여부와 무관하게 핵무기를 계속 보유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의 외교·안보연구소인 벨퍼센터는 지난 3일 발간한 '핵 안보 진전, 그간의 과정 평가와 새로운 목표의 수립'이란 보고서에서 북한을 핵확산 위험 국가로 지목하고, 북한이 핵무기나 핵물질을 국제 테러 단체에 제공하거나 판매할 위험을 경고했다. 핵 전문가인 매슈 번 케네디스쿨 교수는 보고서에서 "북한에서 핵물질과 핵무기 재고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만약 북한이 체제 붕괴 위기에 직면할 경우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자신과 가족의 도피를 위해 핵물질과 핵무기를 (테러 단체들에) 제공하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핵물질은 적은 양이라도 엄청난 위험의 핵 테러를 야기할 수 있는 만큼 이 같은 가능성을 배제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리 차석대사는 최근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해 "자위적 행동 차원에서 통상적으로 행한 훈련"이라며 "한·미 양국이 합동 군사훈련을 통해 대북 압박 수위를 높이면 그에 맞서 보복 조치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