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남한의 TV 방송 시청권에 있는 주민은 12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대북 소식통은 "평북 신의주~강원도 원산 이남으로 남한에서 내보내는 TV 방송의 수신이 가능하다"고 했다.

지난달 말 미디어리서치의 탈북자 조사에서 북한 거주 시 남한 영상 등 콘텐츠를 접촉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70.5%에 달했다. 또 남한 콘텐츠를 보고 '친숙감을 느꼈다'는 사람이 90.5%였다. 또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전체의 10~30% 정도 된다는 응답도 36%나 됐다.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소는 현재 북한의 휴대전화 보급 대수가 300만대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했다. 중국 통신업체를 이용한 휴대전화 사용자도 1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탈북자들은 "휴대전화로 북한 내 가족과 통화하고 서울에서 평양과 직접 통화도 가능하다"고 했다. 그만큼 북한 주민의 대외 접촉 및 개방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얘기다.

대북 소식통은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남한 TV를 자주 보는 사람일수록 자본주의를 선호하고 통일을 원하는 성향이 있다"고 했다.

북한의 시장경제 의존도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 주민들은 식량과 생필품의 60~90%를 시장에서 조달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가내수공업과 개인 토지 경작, 자영업 등은 주민 생계 수단으로 보편화된 지 오래다. 특산물을 싼값에 입도선매해 비싸게 파는 '되거리' 장사도 성행하고 있다. 미디어리서치의 탈북자 조사에선 '북에 살 때 자본주의 경제를 더 지지했다'는 응답이 63%였고, '사회주의 경제를 지지했다'는 응답은 25%에 그쳤다.

주택 시장에선 고가 아파트에 대한 투기 분양 등 자본주의적 경제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북한에선 개인의 주택 소유권은 인정되지 않고 이용권만 인정되는 게 원칙이다. 그러나 일부 당 간부는 10만달러(약 1억여원)가 넘는 고급 아파트를 여러 채 보유하는가 하면, 기관·기업소 명의로 아파트를 분양받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택 투기나 자녀 증여를 위한 암거래나 변칙 거래도 이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