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

농협이 이명박 전 대통령의 '상금세탁'을 도운 정황이 드러났다고 주간한국이 11일 보도했다가 이날 정오를 전후해 기사를 내리는 소동이 일어났다.

주간한국은 이날 오전 온라인판을 통해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11년 해외 원전수주 과정에서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정부로부터 받은 '자이드 환경상' 상금 50만달러(한화 약 5억5000만원)를 수표로 받았으며, 해외에서 받은 금품을 신고해야 하는 공직자법을 피하기 위해 이를 농협 청와대 지점을 통해 현금화했다고 보도했다.

잡지는 기사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이 '전 재산 기부' 약속을 어겼다고 쓰며 "(농협 전산망의) 이 전 대통령 외화수표 추심전 매입 기록이 '청와대지점 여신관리시스템 장애 복구 중'이라는 메시지가 뜬 직후 삭제됐다"며, "의도적 삭제 의혹이 제기된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기사는 이날 정오를 전후해 삭제됐다.

이를 두고 반(反)새누리 성향 네티즌들은 "권력에 굴복한 언론", "언론탄압의 증거다" 등의 글을 트위터에 올리며 분노했다. 사전(事前)에 캡처해둔 기사 등을 첨부한 선동성 트윗도 확산시키기도 했다. 네이버와 다음 등 대형포털에서는 이날 오후 이 전 대통령의 이름이 실시간 검색어 1위로 올라왔다.

조선닷컴이 이날 오후 1시30분쯤 주간한국을 상대로 삭제 경위를 취재한 결과, 주간한국 관계자는 "기사와 이명박 전 대통령 측 주장 간 갭이 있어서 확인 중"이라고 설명했다.

언론사가 확인 취재를 마친 뒤 일단 보도한 기사를 단순히 '상대방의 주장을 추가로 듣기 위해서' 기사를 내리는 일은 매우 드물다. 기사가 내려가는 가장 흔한 원인은 '기사 오류'다.

"사실 확인이 덜 된 상태에서 기사가 나갔다는 의미냐"는 물음에 이 관계자는 적극적으로 부인하지 않았으며 "말로 설명하기 힘든 복잡한 사정이 좀 있다"고만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