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전 세계에서 핵무기를 보유한 '9대 핵무장 국가' 중 하나로 지목됐다. 하지만 핵물질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능력은 가장 떨어지는 나라로 조사됐다고 뉴욕타임스가 8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미국 비정부기구(NGO)인 핵위협방지구상(NTI)은 오는 3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되는 핵안보정상회의를 앞두고 세계 각국의 핵물질 안전 관리 능력을 평가한 보고서를 이날 발표했다. NTI가 영국 분석 기관 이코노미스트인텔리전스유닛(EIU)과 함께 고안한 '핵물질 안전 지수'를 통해 핵물질을 보유한 국가들에 점수를 매겼다. 고농축우라늄, 플루토늄 등 핵물질 1㎏ 이상을 보유한 25개 국가가 조사 대상에 올랐다.
북한은 미국, 중국, 프랑스, 인도, 이스라엘, 파키스탄, 러시아, 영국 등과 함께 '9대 핵무장 국가'로 지목됐다. 핵무기 생산에 쓰일 수 있는 군사·민간용 고농축우라늄과 플루토늄은 각각 1400t, 500t 규모로 세계 곳곳에 분포돼 있다. 보고서는 이 가운데 95%를 이 핵무장 국가들이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동안 미국 정부는 "핵무기를 보유했다"는 북한 주장에 대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되풀이해왔다. 국제사회에서 '핵보유국'으로 인정받는다는 것은 다른 핵파워들과 대등한 지위를 갖게 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북한은 이번 보고서에서 핵 안전 관리 능력에서 100점 만점에 30점을 받아 최하위를 기록했다. 북한은 '국제 규범 준수'와 '국내 관리 및 역량' 부문에서 꼴찌를 기록했고 '보안 및 통제 수단', '위험 환경' 부문 등에서도 하위권을 맴돌았다. 보고서는 "북한이 핵물질을 관리하는 법과 규정을 공개하지 않아 낮은 점수를 받았다"며 "독립된 관리감독기구가 없어 당국이 일방적으로 발표하는 핵물질 관련 자료도 신뢰할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