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활성단층이 발생했다는 주장이 제기되 화제다.
지난해 한반도에서는 93차례의 지진이 발생해 1978년 계기 관측이 시작된 이래 최다 수치를 기록한 가운데 이것이 동일본 대지진 여파라는 주장이 처음으로 제기됐다. 2011년 3월11일 동일본 대지진 이후 우리나라 서해에 거대한 활성단층이 생겼다는 주장이다.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홍태경 교수는 6일 "보령 앞바다 지진의 경우 북동 방향과 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지진 단층대의 형태가 확인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2011년 3월11일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서해에 거대한 활성 단층대가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홍 교수는 "지난해 한반도 지진 발생수가 역대 최다인 93회를 기록한 것도 이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며 "해역과 내륙 활성 단층대에 대한 정밀 진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홍 교수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서해와 수도권 부근에 큰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기상청은 속단하기 이르지만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서해 활성단층 발생 한반도 지진 역대 최다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서해 활성단층 발생, 대형지진 우리도 위험한거야?","서해 활성단층 발생, 일본은 도움이 안되네?","서해 활성단층 발생, 어쩐지 자주 흔들린다 했어","서해 활성단층 발생, 지진 대비는 하고 있나"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입력 2014.01.07. 18:33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