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내각에 대한 일본 국민들이 지지율이 50% 아래로 떨어져 아베 총리 집권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추락했다.

일본 교도통신은 이달 8~9일 이틀에 걸쳐 현 내각에 대한 지지율 전화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아베 내각 지지율이 47.6%를 기록했다고 10일 보도했다.

이 같은 지지율은 지난달 같은 사안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해 무려 10.3% 포인트나 폭락한 것이다.

교도통신이 아베 정권 출범 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내각 지지율이 50% 미만으로 추락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반면 아베 내각을 지지하지 않는 응답자는 38.4%에 달했다.

7~8개월 전만해도 ‘아베노믹스’ 선풍을 일으키며 70%대의 고공 지지율을 기록하던 아베 내각에 대한 지지율이 크게 내려간 주범으로는 ‘특정비밀보호법’ 강행처리가 꼽힌다

‘특정비밀보호법안’이란 비밀 유출을 지시한 공무원 등에 대해 5년 이하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고 규정한 법으로 야당과 언론 등에서 ‘언론 활동을 위축시키고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할 우려가 높다’고 반발했지만 여당인 자민당이 의회에서 강행처리한 법안이다.

아베 총리는 이 법안을 강행처리 한 뒤 지난 9일 기자회견에서 “현재도 정부가 비밀로 하는 정보가 있고, 이번 법 통과로 인해 그 범위가 넓어진 것은 아니다”라며 “외교·안보정책을 국민에게 설명하면서 투명성을 확보한 후 진행하겠다. 국민의 알 권리가 침해되는 일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아베 내각에 대한 지지율은 계속 내리막길을 타고 있다. 교도통신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특정비밀보호법안을 수정·폐지해야한다는 응답자가 82.3%에 달했다.

이번 강행통과로 지지율이 떨어짐에 따라 아베 총리가 당분간 경제 이슈에 집중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최근 무역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내년 4월 소비세 인상을 앞둔 상황에서 지지율 회복을 위해선 경기회복이 최고 급선무라는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