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23일 검찰의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의혹 수사와 관련, “(이명박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이 박근혜 의원을 비난한 글도 많다”라며 “이 문제도 꼭 밝혀 달라”고 불만을 드러냈다.
윤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국정원이 박 대통령 비방 댓글도 달았다’는 언론보도 등과 관련해 “왜 검찰은 박 대통령에 대한 비난글에 대해서는 말이 없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윤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명박 정부 때) 국정원은 4대강 사업 문제, 세종시 문제에 대한 박 의원이 밝힌 입장을 엄청나게 비난하는 사이버 활동을 많이 했다”라면서 “국정원의 사이버 댓글활동은 정부정책에 대한 것”이라고 했다.
그는 “검찰 수사가 편향됐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우리 쪽에서는, 오히려 우리 쪽이라기보다는 국정원 쪽에서 편향이라기보다 좀 불리하게 보고 있는 면이 있지 않으냐”고 답했다.
앞서 경향신문은 이날 선거개입 트위터 글이 추가로 확인되면서 국정원이 박 대통령을 노골적으로 비방한 댓글이 쏟아질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국정원이 심리전단을 확대해 인터넷에서 여론전을 펼친 시기는 이명박 전 대통령과 당시 의원 신분인 박 대통령이 갈등하던 때와 겹친다.
특히 이 전 대통령과 박 대통령은 2007년 대선 경선과 2008년 ‘공천 학살’ 파동으로 대립 관계가 형성됐고, 2011년 말 단독회동 전까지 냉랭한 사이를 유지했다. 세종시 수정안과 동남권 신공항을 놓고는 정면충돌했다.
검찰이 법원에 제출한 범죄일람표에 따르면 심리전단은 2009년 4건, 2010년과 2011년 각 2건 등 총 8건의 박 대통령 비방 댓글을 달았다. 2009년 10월 포털의 카페에서 세종시 수정안과 관련해 ‘박근혜 의원이 그렇게 무서운 존재인가’ 등 박 의원을 비판하는 인터넷 언론사 칼럼을 올렸고, 2010년 3월에는 신공항과 관련해 “박근혜는 대통령 도와주지도 않고 표만 얻으려고 경북 주민 듣기 좋은 소리만 하고 있는데 큰 정치인으로 크려면 이렇게 하면 절대 안되죠”라는 글을 남겼다고 경향신문이 보도했다.
이 신문은 “8건의 글은 모두 국정원이 검찰 수사 전 댓글을 삭제한 것으로, 검찰은 삭제된 글들을 일부 복원해 이를 발견해냈다”며 “검찰 수사가 더 확대되면 박 대통령 비방 글이 더 나올 수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