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첫 우주인' 이소연.

‘한국 최초의 우주인’을 양성하겠다며 총 266억원을 쏟아부은 ‘우주인 배출’ 사업이 결국 ‘1회용 쇼’에 불과했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나왔다. 특히 ‘한국인 첫 우주인’으로 선정된 이소연 박사의 강연료 착복, 미국 MBA 진학 등이 논란이 되고 있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재천 민주당 의원은 21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으로부터 제출받은 '한국우주인배출사업' 자료를 확인한 결과, 2005년 1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정부가 총 256억2200만원을 투자한 ‘우주인 배출’ 사업이 사업 종료 후 미비한 후속 연구 등으로 아무런 성과없는 전시행정으로 끝났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 최초의 우주인으로 선정됐던 이소연 박사는 지난해 MBA 과정을 밟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으며, 지난 8월에는 한국계 미국인 의사와 결혼하는 등 우주인과는 아무런 관계없는 삶을 살고 있고, 당초 우주인으로 선발됐다 이 박사와 교체된 고산 선임연구원 역시 3D프린터 업체를 창업하는 등 우주개발과 다소 거리가 먼 인생을 살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우주인배출사업은 정부가 2000년 12월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에 우주인 양성계획을 반영한 뒤 한국 최초 우주인 배출 및 유인 우주기술 확보를 목적으로 2005년 1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진행된 사업으로, 항우원 주관 총 256억2200만원이 투자됐다.

최 의원 측에 따르면, 2008년 러시아 소유즈 로켓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에 10일간 머무른 이소연 박사는 현재 우주와는 아무런 상관 없는 미국 MBA 과정을 밟고 있는 중이다. 항우연에는 휴직계를 낸 상태이며 최근에는 미국계 한국인 의사와 결혼소식을 전해오기도 했다. 고산 선임연구원 역시 3D 프린터 관련 벤처기업 에이팀(A-team)을 창업해 서울 청계천에 사무실을 냈다.

이소연 박사의 강연료 착복 문제도 논란거리다. 최 의원 측에 따르면, 이 박사는 항우연 직원으로 재직할 당시 ‘한국인 첫 우주인’ 자격으로 2008년부터 2012년 9월까지 총 235회의 강연을 다녔고, 회당 평균 37만 6559원의 강연료, 총 8849만1365원을 받았다. 하지만 이를 전부 개인 수입으로 챙기고, 출장비는 항우연에서 따로 지급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항우연 측은 “대외 교육·홍보 활동은 이소연 박사 업무의 연장선이라 문제가 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해당 강연이 업무시간 중 이뤄진데다 강연료 수입을 이 박사 개인이 챙겼다는 데서 논란의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다.

실태가 이럼에도 불구하고 항우연은 각종 미사여구를 동원해 ‘실패한 우주인 사업’을 미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최 의원실은 밝혔다.

2011년 작성된 항우연의 평가보고서 ‘우주인 배출의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항공대 허의영 교수)에 따르면, 항우연은 우주인 배출의 사회적 효과로 우주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우주과학문화 확산에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청소년의 이공계 선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점을 예시했다.

또 강연활동 등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5억9700만원, 대중매체를 이용한 과학문화 활동의 경제적 가치를 492억6500만원으로 환산해 총 513억7500만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정작 이 사업을 통해 어떤 기술을 확보했고 향후 우주 진출을 위한 기술 발전이 어느 정도까지 진행됐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게 최 의원 측의 지적이다.

후속연구에 대한 투자도 미비해, 우주인 활동 및 관리(2008년 7월~2009년 6월, 3억7500만원), 미세중력 활용 우주실험 지상연구 및 우주인활동 지원(2009년 8월~2010년 7월, 3억5000만원), 한국형 유인우주프로그램 개발(2010년 1월~2012년 12월, 22억1100만원), 마이크로중력 활용 유인우주기반기술 연구(2013년 1월~현재, 10억1900만원) 등에 투입된 예산은 지난 5년간 40억 원 남짓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재천 의원은 “전 국민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시작됐던 한국 우주인 배출사업이 포장만 요란했지 내실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며 “막대한 비용을 들인 우주과학 분야 투자가 일회성 보여주기용 사업으로 전락하는 일이 없도록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