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7일 전군 주요 지휘관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격려 오찬을 갖고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추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 토대는 강력한 국방역량"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흔들리는 땅 위에 건물을 지을 수 없듯이 안보가 흔들리면 대화도 평화도 설 수가 없다"며 "우리가 완벽한 군사대비태세와 대북 억지력을 갖추고 있어야만 북한이 감히 도발할 생각을 할 수 없게 되고 진정한 변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나는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올바른 선택을 하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적극 가동하겠다고 밝혀왔다"며 "지난번 한·미정상회담 때 오바마 대통령과도 의견을 같이 했고 이달 말 중국을 방문하게 되면 시진핑 주석과도 이에 대해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전날 북한의 남북 당국간 회담 제안과 관련해서는 "확고한 안보태세를 지켜 온 우리 장병들과 지휘관들의 노고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라며 "나는 대통령으로서 우리 군을 누구보다도 믿고 지휘관 한 사람 한 사람의 판단을 신뢰한다“고 지휘관들을 격려했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북한이 도발하고 우리 안보를 위협해도 우리 경제가 흔들림 없이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국민들도 동요하거나 불안해하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우리 군의 역량과 대비태세를 신뢰하고 있었기 때문"이라며 "엄중한 안보상황에 잘 대처해 온 지휘관들과 우리 장병 여러분들께 대통령으로서 정말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노고를 치하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중심으로 군사 대비태세를 잘 유지해 달라"며 "정부도 여러분이 더욱 힘을 내 임무를 완수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존 존슨 미8군 사령관이 자리를 함께 한 점을 언급하며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든든한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해 온 미군 장병들이야말로 우리 군의 소중한 전우들"이라고 말했다.
김 국방장관은 주요 지휘관들을 대표해 "나라를 지키는 것은 우리 본연의 의무인데도 불구하고 대통령이 회의 석상에서 우리 장병들의 노고가 많다고 두세 차례 말씀했다"면서 "칭찬을 들을 때마다 부끄럽고, 또 매우 고맙고 장병들 사기 진작에도 도움이 됐다"며 감사의 뜻을 밝혔다.
박 대통령이 전군 주요 지휘관들을 만나는 건 취임 후 처음이다. 이날 오찬에는 김 장관을 비롯해 합동참모본부장, 육·해·공군 참모총장,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1·2·3군 사령관 등 140여명의 군 지휘관들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