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을 퇴직한 고위 간부들이 원자력발전소 협력업체에 재취업해왔다고 한겨레 신문이 5일 보도했다. 원전 관련 일거리를 주는 한수원에서 퇴직자들이 협력업체에 재취업하는 것은 오랜 관행처럼 굳어진 일이었는데, 이 때문에 고질적인 원전 비리 역시 끊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 신문에 따르면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지난 10년간 한수원을 퇴직한 간부 81명이 61개 협력업체에 재취업했다. 1년에 8명꼴이다. 한수원 간부들이 매년 20~30명씩 퇴직하는 것을 고려하면 매년 퇴직자의 30%가 민간업체, 공기업, 연구기관 등 협력업체로 재취업하고 있는 셈이다.
임원, 1급, 2급 등 고위 간부 출신들은 보통 1년 계약 방식으로 고문 역할 등을 맡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이는 자신이 일했던 한수원으로부터 원전 관련 일감을 따오고 이를 위해 로비를 하는 역할을 민간업체에서 맡기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회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2년 9월까지 한수원 퇴직자를 영입한 회사 13개가 따낸 사업은 총 445건, 1조 6785억원 규모였다고 한다. 원청업체가 한수원밖에 없는 상황에서 한수원 퇴직자들은 민간 업체에서 서로 모셔가는 중요한 존재가 됐다는 것이다.
신문은 최근 원전 3기의 정지와 관련된 시험성적서 조작 사건 역시 승인기관인 한국전력기술과 한수원 퇴직자들이 시험기관과 인증기관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