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아 실시된 조선일보·미디어리서치 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인사(人事)정책에 대해 응답자의 56%가 '잘해오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보통이다'가 26.6%, '잘해왔다'는 12.4%, '무응답'은 5.0%였다. 경제·북한·교육 등 정책 평가 항목 중에서 부정적 평가가 긍정적 평가를 앞섰던 유일한 분야가 '인사 정책'이었다.

◇국민 56%가 "人事 못했다"

인사 정책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박 대통령 지지층에서도 강하게 나타났다. 지난 대선 때 박 대통령에게 투표했다는 국민 가운데 절반에 육박하는 45.4%가 '(인사를) 잘해오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박 대통령 지지층에서 '잘해왔다'고 한 비율은 18.1%에 그쳤고, 31.9%는 '보통'이라고 했다. 새누리당 지지층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잘해오지 못했다'가 45.6%, '보통'이 33.5%, '잘해왔다'가 17.2% 순이었다.

문재인 전 대선 후보 지지층에선 '잘해오지 못했다'가 75.7%까지 치솟았다. '잘해왔다'는 2.6%에 불과했고, '보통이다'는 17.6%였다.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잘해오지 못했다' 65.8%, '보통이다' 20.9%, '잘해왔다' 8.0%로 나타났다.

박대통령 100일 여론조사 결과 그래프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박 대통령 인사에 대해 가장 비판적이었다. '잘해오지 못했다'는 비율이 서울의 경우, 65.0%, 인천·경기는 59.8%였다. 그다음으로 호남 58.1%, 충청 55.7%로 나타났다. 이어 부산·울산·경남(49.9%), 강원·제주(45.2%), 대구·경북(39.0%)에서 50% 밑으로 떨어졌지만, '잘해오지 못했다'가 '잘해왔다'보다 훨씬 높았다.

◇"철저한 사전 검증으로 보완해야"

이런 결과는 새 정부 들어 잇따른 인사 사고로 박 대통령 인사 스타일에 대한 비판과 불만이 광범위하게 확산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직 인수위 시절 김용준 전 총리 후보를 비롯해, 새 정부 출범 이후 5명의 장·차관급 후보자들이 줄줄이 낙마했고 "박 대통령의 '나홀로 인사 시스템'이 한계에 왔다"는 여론이 비등했었다.

지난 3월 30일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이 김행 대변인을 통해 한 사과는 "17초 대독(代讀) 사과"라는 비난을 받았다. 급기야 4월 12일 박 대통령은 민주당 지도부와 만찬에서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했다.

하지만 5월 초 방미에서 터진 '윤창중 성추행 사건'으로 박 대통령의 인사 시스템은 다시 도마에 올랐다. 윤 전 대변인은 박 대통령의 '1호 인사'였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고위직 인사에서 가장 보완해야 할 점'으로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3.6%가 '철저한 사전 검증'을 꼽았다. 이어 '주위 평판과 여론을 고려해야 한다'가 18.0%, '지역 안배 등 편중되지 않은 인사'가 13.7%, '공식 인재풀 등을 통한 대상자 확대'가 11.6%로 나타났다. '지역 안배 등 편중되지 않은 인사'의 경우, 야권 지지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는데 민주당 지지층에서 21.4%, 새누리당 지지층에선 9.7%였다.

박 대통령은 지난 4월 24일 언론사 편집·보도국장 간담회에서 "검증 시스템을 정비하고 존안 자료도 상시 보안해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월 15일 정치부장단 간담회에서 이를 다시 언급했다. 인사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여전한 만큼 청와대가 어떻게 시스템을 보완했는지 그 결과물을 내놓아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