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정원 정치 개입 의혹 사건 당시 경찰이 노트북 점검팀·데스크톱 점검팀·인터넷 점검팀 등 3개조를 운영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3개조 조사 결과 국정원 직원 김모씨가 당시 박근혜·문재인 등 대선 후보와 관련된 글을 달았다는 사실을 파악했음에도, 대선을 3일 앞둔 지난해 12월 16일 중간 수사 결과 발표 때 이를 뺐다는 사실을 검찰이 확인해 수사 중이다. 국정원 정치 개입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윤석열)은 경찰 수뇌부가 이 같은 수사 결과 축소 발표에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고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에 대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적용을 검토 중이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팀은 작년 12월 13일 김씨로부터 동의를 받고 김씨가 사용하던 데스크톱과 노트북을 넘겨받아 분석 작업을 했다. 경찰은 데스크톱과 노트북에 글을 쓴 흔적이 남지 않았을 가능성에 대비해 인터넷 점검팀을 별도 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경찰은 이런 방식으로 김씨가 문 후보를 비판하는 글뿐 아니라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는 내용을 담은 글도 인터넷 게시판에 올린 사실을 파악했다는 것이다.
김씨가 인터넷 게시판에 올린 글에는 통합진보당 이정희 대표에 대한 글과 각 정당의 정강정책 등에 대해 언급하는 내용도 들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경찰은 발표 당시 이 같은 내용을 빼놓아 수사 결과를 축소·은폐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 등 경찰 관계자들은 이에 대해 "김씨가 애초에 컴퓨터를 맡기면서 '컴퓨터에 남아 있는 댓글만 증거로 인정해 달라'고 했기 때문에 수사 결과 발표에 인터넷 게시판에서 찾은 것들은 반영되지 않았다"고 해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검찰은 인터넷에 올린 댓글을 발견하고서도 이를 빼놓고 발표한 경찰의 해명은 납득할 수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검찰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27일 재소환해 조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