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27일 북한이 박근혜 대통령의 실명을 거론하며 '괴뢰 대통령'이라고 노골적으로 비난한 것에 대해
"북한이 공식 매체를 통해 도저히 입으로 담을 수 없는, 인용할 수도 없는 발언을 한 것에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다"며 "즉각적으로 중단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지금 현재 북한이 하는 행태에 대해 국제사회가 보고 있고, 국제사회가 보기에 북한이 하고 있는 여러 가지 언행은 정말 민망하고 부끄러운 일"이라며 "남북관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언행을 자제하고 절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 25일 국방위원회 정책국 대변인 담화를 통해 "괴뢰 대통령 박근혜가 또다시 우리와 대결해 보려는 악랄한 흉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내 놓았다"며 "최고 존엄을 직접 거론하면서 경제 건설과 핵무력 건설의 병진(竝進) 노선이 성공할 수 없다는 무엄한 망발도 늘어놓았다"고 비난했다.
담화는 박 대통령에 대해 "치마를 바지로 갈아입고 사복을 군복으로 바꿔 입는 법을 배우기에 앞서 상대의 군사적 준비가 어느 상태인가부터 파악하는 데 달라붙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담화는 이어 "유신 독재자가 무엇 때문에 비명횡사했으며 리명박 역도가 무엇 때문에 산송장 취급을 당하고 있는지 심각히 돌이켜보아야 한다"고도 했다.
북한이 박 대통령의 실명을 거론하며 노골적으로 비난한 것은 취임 3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는 지난 23일 박 대통령이 미국 CSIS 존 햄리 소장 일행을 접견한 자리에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이름을 거론하며 "경제발전과 핵개발을 병행하겠다는 도박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고 말한 것을 문제 삼은 것이다.
북한은 24일 조평통 대변인을 통해 박 대통령을 겨냥해 '정신병자'라며 비난했으나 이때는 실명이 아니라 '남조선 당국자'란 표현을 썼다.
북한은 이명박 정권 때는 정부 출범 한달여 만인 2008년 4월 1일 처음으로 이 전 대통령의 실명을 거론하며 "역도"라고 비난했었다.
한편 정부는 이날 통일부 대변인 명의로 발표한 성명에서 "북한은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는 6·15 남북공동행사에 더 이상 집착하지 말고 조속히 남북 당국간 대화에 호응해 나올 것을 재차 촉구했다"고 밝혔다.
정부의 이같은 입장은 북측의 6·15 남북공동행사에 대한 우리 측 참가를 사실상 불허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김 대변인은 "북한 당국은 개성공단 관련 우리의 남북 당국간 대화 제의는 지속적으로 거부하면서, 최근 우리 민간단체를 상대로 6·15 남북공동행사 개최를 제의하는 등 이중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며 "이러한 북한의 태도는 그 진정성이 의심스러울 뿐만 아니라 남남갈등을 조장하려는 구태의연한 행태로서, 심각한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6·15공동선언 실천 북측위원회(북측위)는 지난 22일 남측위로 보낸 팩스를 통해 "6·15공동선언 발표 13돌 민족공동 통일행사를 개성 또는 금강산에서 진행하자"고 제의했다.
입력 2013.05.27. 11:40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