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백령도 인근 해상에서 지난 18일 기상관측 이래 역대 여섯 번째인 규모 4.9 지진이 발생했다.
18일에는 백령도 지진을 포함해 서해에서 이날 하루만 10차례의 지진 발생이 확인됐다. 1978년 국내 지진 관측이 시작된 이래 한 곳에서 하루에만 5차례 이상의 여진이 발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다음날인 19일에도 인근 해역에서 규모 2.3 지진이 또다시 발생했다. 앞서 14일과 15일에도 백령도 부근에선 규모 2~3 지진이 세 차례 발생했다. 최근 1주일 새 백령도 인근 해역에서만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모두 14차례 발생한 것이다. 기상청은 이번 진앙(지진발생위치) 반경 50㎞ 이내에선 1978년 이후 규모 4.0 이상 2회, 3.0 이상~4.0 미만 11회, 2.0 이상~3.0 미만이 25회 발생했을 정도로 ‘지진다발지역’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달 21일 전남 신안에서 올 들어 가장 큰 규모인 4.9 지진이 일어난 지 한 달 만이다.
이렇게 지진 발생이 잦아진 이유는 뭘까?
전문가들은 “서해 백령도 해역에 ‘활성단층’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활성단층은 활발한 지각 이동으로 땅이 갈라지는 곳을 일컫는다.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은 “규모 5 정도의 지진이 발생하면 인근에 무조건 활성단층이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인천 앞바다에서 빈발하는 지진은 주향(走向)이동단층의 영향 때문”이라고 했다.
한편 홍태경 연세대 지질학과 교수는 “한반도 지역에서 판의 경계가 모호해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백령도 지역 지진은 이 경계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단서”라고 말했다. 홍 교수에 따르면 과거 중생대 때 한반도는 남한과 북한 경계 인근 지역이 남중국판과 북중국판으로 나눠져 있었다가 세월이 흐르면서 이 두 판은 하나의 유라시아 판으로 합쳐졌다고 한다. 최근 이 판이 확장하는 움직임이 일어나면서 경계가 응력(외부 압력에 의해 받는 저향력)을 받아 지진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기상청은 서울 등 대도시에서 백령도와 같은 규모 6.0 정도의 지진이 발생하면 도시 기능이 마비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진 발생이 잦은 일본에선 규모 6.0 정도면 거의 피해가 없지만 내진 설계가 갖춰지지 않은 국내 대도시는 사정이 다르다는 지적이 있다.